
연금 개혁에 반대하며 12년 만에 연합 전선을 구축한 프랑스 주요 8개 노동조합은 이날 프랑스를 "멈춰 세우겠다"는 목표로 대대적인 파업을 예고했다.
노조의 시위에 참여하는 인원은 지난 1월 31일 제2차 시위 때 내무부 추산 127만명, 주최 측 추산 280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점점 줄고 있는 현황이다. 지난 2월 16일 가장 최근 시위에는 정부 집계 44만명, 노조 집계 130만명으로 반토막 나 동력을 잃었다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노조는 시위의 동력을 회복하기 위해 전국적인 대규모 파업과 시위를 도모하고 있다.
이날 파업에는 철도공사(SNCF), 파리교통공사(RATP) 등 교통부문과 정유 등 에너지 부문, 초등학교 교사 등 교원 부문 등이 참여한다.
트럭 운전자들은 전날 오후부터 고속도로 주요 간선도로에서 일부러 서행하면서 다른 차들의 통행을 방해하는 형태의 시위를 시작했으며 프랑스와 인접국을 연결하는 열차는 일부만 운영이 가능하고, 파리에 있는 샤를드골 공항과 오를리 공항에서도 항공편이 20∼30% 취소됐다.
겨울 방학이 끝난 초등학교에서는 교사 60% 이상이 이날 파업을 함께하기로 해 일부 지역에서는 학교 수업도 취소될 전망이다.
올리비에 뒤솝트 노동부 장관은 반대 의사를 밝히는 것은 정당하지만 국가를 봉쇄시켜 경제를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정부와 마크롱 대통령은 지금 손보지 않으면 연금 제도가 머지않아 적자의 수렁에 빠진다며 연금 수령을 시작하는 연령을 현행 62세에서 2030년까지 64세로 늦추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연금을 100% 수령하기 위해 기여해야 하는 기간을 기존 42년에서 2027년까지 43년으로 늘리고 싶어한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