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코인터·포스코에너지 합병, 40조원대 에너지기업 출범한다

공유
0

포스코인터·포스코에너지 합병, 40조원대 에너지기업 출범한다

3.6조원 투자해 LNG밸류체인 구축…재생에너지도 2000억원 투자
내년 1월1일 합병법인 공식 출범…포스코그룹의 비철강 전략 주목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4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에너지와의 합병안을 승인했다. 사진은 임시 주주총회를 진행 중인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4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에너지와의 합병안을 승인했다. 사진은 임시 주주총회를 진행 중인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사진=뉴시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포스코에너지와의 합병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1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연매출 40조원대의 거대 에너지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4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인천 송도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는 안건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합병에 나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에너지는 내년 1월1일 공식 출범할 예정이며, 연매출액 40조원 영업이익 1조원대의 거대 에너지 전문기업이 환골탈태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피합병회사인 포스코에너지는 포스코홀딩스의 자회사로, 포스코홀딩스가 전체 지분의 89.02%를 보유 중이다. 주력사업은 LNG화력발전 및 터미널 임대사업, 수소연료전지 사업이다.

합병회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포스코그룹 내에서 철강재 및 화학 부품 등 다양한 상품과 소재를 유통하고 있으며, 자원개발을 통한 LNG가스를 생산 판매 중이다. LNG사업을 놓고 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업스트림을, 포스코에너지는 다운스트림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포스코그룹이 주력계열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에너지의 합병에 나선 이유는 비철강 사업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주력사업인 철강업의 성장가능성이 약해진 대신 에너지·2차전지 등 비철강 사업을 키워 그룹의 양대성장엔진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이날 주총에 참석한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도 이 같은 그룹의 의지를 다시한번 확인시켜줬다. 주 사장은 "그룹 내 에너지 사업을 통합해 LNG사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해 지속가능한 성장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에너지를 합병해 LNG사업에서의 밸류체인을 완성하고 관련사업을 더 확대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동시에 주 사장은 에너지사업 성장 전략과 함께 대규모 투자계획도 공개했다. 합병 원년인 내년부터 △E&P(Exploration & Production·탐사 및 생산) △액화천연가스(LNG) 인프라 △발전·친환경에너지 등 부문별 성장 전략에 맞춰 향후 3년간 총 3조8000억원 규모의 투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투자금액의 절반은 LNG인프라 확충에 사용된다. 광양·당진터미널의 73만㎘(킬로리터) 용량의 저장태크를 3년에 걸쳐 확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2026년까지 LNG거래량을 465만톤(t)으로 확대하고, 총 181만㎘의 저장용량 인프라도 확보하겠다는 설명이다.
E&P 부문에서는 1조3000억원을 투입된다. 자회사인 세넥스에너지를 통해 호주에서의 천연가스 생산량을 오는 2025년까지 3배로 늘리고, 인도네시아에서의 탐사권을 확보해 가스 생산 거점을 확대할 방침이다.

발전 부문에서는 7000억원을 투자해 수소혼소발전 등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에너지는 인천에서 LNG발전소 7기를 운영 중인데, 이중 3·4호기를 수소혼소 발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했다. 이에 세계 최초로 기가와트(GW)급 상업용 수소혼소발전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나머지 2000억원은 태양광발전과 친환경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육·해상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투자에 사용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재생에너지 발전을 현재 0.1GW 수준에서 오는 2025년까지 7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측은 "투자재원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1조5000억원 등 자체 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친환경에너지기업으로 성장하는 것과 동시에 2030년까지 기업가치를 13조원대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