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홍성국 의원, 경찰과 금융감독당국 간 긴밀한 협의 아래 개선 시급

카드깡은 유령가맹점에서 물건을 산 것처럼 카드로 결제 후 현금으로 돌려받고 수수료 20~30%를 떼는 고리대 방식의 금융 범죄 일종이다.
21일 국회 정무위 소속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만1290개 신용카드가맹점에서 카드깡 범죄가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17년 1만2793개, 2018년 1만5970개, 2019년 2만6703개, 2020년 3만1290개로 해마다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카드사가 금감원에 접수한 신고는 지난해 단지 25건 뿐이다. 전체 카드깡 발생량에 비해 훨씬 미미하다. 그나마 2017년에 251건의 신고가 있었으나 불과 3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어 홍성국 의원은 “경찰과 금융감독당국이 손 놓은 단속 시스템에 대해 범죄자들은 물론 카드사들의 도덕적 해이까지 정당화되는 결과로 이어진다”며 “금융 소외계층에 피해가 집중되는 범죄인 만큼, 당국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한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