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산업 모든 분야서 생태계 활성화해 나갈 것”

특히 100% 우리 기술로 만들어 오는 21일 발사하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심장 ’75t 액체로켓 엔진‘ 실물이 일반에 최초로 선보여 그 어느 때 보다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75t 액체로켓 엔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주도로 지난 2010년부터 한국이 독자 개발한 누리호의 핵심 장치다.
이 장치는 발사체가 중력을 극복하고 우주 궤도에 도달하는 동안 고온, 고압, 극저온 등 극한 조건을 모두 견뎌 낼 수 있도록 제작한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다.
스페이스 허브(Space Hub)관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참여한 액체로켓 엔진을 비롯해 (주)한화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한화시스템 저궤도 위성통신 등도 일반에 공개된다.
한화그룹은 한국의 항공우주사업 초기부터, 킥 모터(추가 추력 장치), 위성, 엔진 등 다양한 정부사업 분야에 참여해왔다.
최근에는 뉴 스페이스 시대(민간 주도 우주 개발)를 맞아 투자를 가속해 우주 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한화는 90년대 과학 로켓부터 누리호까지 발사체를 비롯한 다양한 위성 사업에 참여해오고 있다”며 “앞으로 발사체, 행성 탐사, 한국형 GPS 그리고 다양한 위성을 통한 지구 관측, 통신 서비스 등 대한민국에 필요한 우주 산업 모든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