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몰누피라비르는 머크(Merck)가 리지백바이오테라퓨틱스와 공동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다. 몰루피라비르는 코로나19 감염을 일으키는 SARS-CoV-2 같은 여러 가지 RNA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한다. 경구약이 나오면 코로나19 감염자는 병원이 아니라 집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FDA의 결정은 수주일 이내에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13일(현지시간) CNN인도네시아와 안타라 등 인도네시아 매체들에 따르면 리오노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극복은 백신 접종을 통해 이뤄지는 게 최선이라고 밝혔다.
리오노 교수는 CNN인도네시아와 인터뷰에서 “인도네시아는 특히 인접국인 호주나 말레이시아처럼 부유한 나라가 아니어서 이들의 사례를 따를 필요가 없다”며 “인도네시아는 치료제가 아닌 백신 접종에 집중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보건기구(WHO)도 치료제 활용을 제안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치료제에 대해 미국이나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이용을 권장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호주 등 일부 부유한 나라가 알약 치료제에 관심을 둔다고 인도네시아가 이를 추종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지금 이 순간까지 코로나19를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개발된 게 아니다”며 “인도네시아에서 활용되고 있는 렘데시비르 등도 완전한 치료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의 제안은 재정 한계가 있는 정부가 치료제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올해 말까지 다수 국민들에게 백신 접종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노력하는 게 낫다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CNN인도네시아는 전했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