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빈테크, 3분기 플랫폼으로 철강 산업 진출

글로벌이코노믹

빈테크, 3분기 플랫폼으로 철강 산업 진출

이미지 확대보기
빈테크(BeanTech)는 철강 공정 자동화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십을 보유한 다니엘리 오토메이션(Danieli Automation)과 협력하여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용 IoT 및 고급분석 플랫폼을 개발, 다니엘리 그룹 공장을 통합했다고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아마존 게이밍위크지가 밝혔다.

금속부문의 수직 데이터 플랫폼인 새로운 Q3 플랫폼 개발은 견고한 기반을 구축하고 두 회사 간의 파트너십을 지속, 이미 2006년 빈테크에서 시작해 현재 전 세계 100개 이상의 플랜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Q3 플랫폼은 품질과 에너지 매개 변수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철강 산업의 파노라마에 적합하다.

플랫폼은 자산의 거버넌스를 단일 지점에서 중앙 집중화하여 개요를 통합할 수 있으므로 통합 된 웹 포털을 통해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합성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 품질 및 에너지 분야에서 중간 관리자는 임시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일 엔드포인트를 제공하여 정보 검색을 간소화할 수 있다.

플랫폼의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분석 솔루션은 고객의 생산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맞춤형 수직 솔루션 구현에 지출 예산을 집중할 수 있다.

제철소 플랫폼을 구성하는 방향 대시보드를 사용하면 전체 용량이 아닌 비용 센터를 식별하고 원인을 신속하게 조사할 수 있다.

생산 중에는 각 유형의 강철에 속하는 소비를 개별 주조에 따라 분석‧비교하여 가장 편리한 유형의 제품을 결정하며 다양한 공정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이 시스템은 전기 및 기타 에너지 운반선의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의무를 고려하여 플랜트 내 하중의 제어, 관리 및 최적화도 꾀할 수 있다.

S.p.A의 수석 부사장 마르코 오메토(Marco Ometto)는 “장기적으로 공장 내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양을 사용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전 세계 제철소 데이터를 보다 최적화하는 것이 다니엘리 오토메이션의 목표”라고 말했다.

금속 변환 프로세스의 복잡성과 위험을 감안할 때, 각 응용 프로그램의 릴리스에는 표준을 완벽히 보장하는 긴 테스트 기간이 포함된다.

빈테크 데이터 플랫폼은 철강 전체생산 및 품질공정의 모니터링 및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최첨단 솔루션을 나타낸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모듈식 솔루션을 사용하면 전체 생산전략 내에서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Q3 플랫폼은 원자재를 완성제품으로 전환하는 모든 단계를 통해 주문 인수부터 납품까지 전체 생산 주기에 주의를 집중하면서 비즈니스 데이터를 수집‧분석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빈테크의 과제는 이미 플랜트에 존재하는 IT/OT 인프라와 호환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었으며 경우에 따라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빈테크의 이사 데니스 카펠라리(Denis Cappellari)는 “강력한 통합 알고리즘 엔진은 사실 가장 중요한 모듈 중 하나이며 이미지 분석 또는 비디오 스트림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우리의 목표는 다니엘리 오토메이션과 함께 철강 공장 전체 데이터 체인을 통제하고 금속 부문에 인공 지능을 가져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미경 글로벌이코노믹 브라질 리우 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