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9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0년 국민계정(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881달러다.
지난해 환율이 1% 넘게 오르면서 미 달러화 기준으로 전년보다 1.0% 줄었으나 원화 기준으로는 0.2% 늘었다. 한국은 2017년 3만1734달러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고 2018년 3만3564달러로 증가했다. 그러나 2019년 3만2204달러, 2020년 3만1881달러로 2년 연속감소하고 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1인당 GNI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 왔다.
달러화 기준 국민소득이 감소한 것은 원·달러 환율이 작년 연평균 1.2% 상승했기때문이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756달러로 전년보다 1.1% 증가했다. 원화로는 295만2000원으로 2.3% 증가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다.
한은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0.9%로 올해 3월 발표한 -1.0%보다는 0.1%포인트 상승했지만 1998년 외환위기 당시 -5.1% 역성장한 이후 2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33조2000억 원으로 2019년보다 0.4% 증가했다.
또 지난해 총저축률은 35.9%로 2019년 34.7%보다 1.3%포인트 상승했고 국내총투자율은 2019년 31.3% 보다 0.3%포인트 오른 31.7%로 나타났다.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순저축률은 11.9%로 2019년보다 5.0%포인트 상승했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