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아짐에 따라 안정 방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올해 2분기는 공급 측 요인에 기저효과가 더해지면서 물가상승률이 2%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날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3%였다.
이 차관은 그러면서도 "2분기의 물가 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 안정 노력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5월 중 달걀 추가 수입 등을 추진하고 조생종 출하 등으로 가격이 안정되고 있는 대파·양파의 경우 조기 출하 독려 등을 통해 가격 조기 안정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해 조달청이 비축하고 있는 구리·알루미늄·주석을 5월에도 1∼3% 할인해 방출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컨틴전시 플랜'을 통해 수급 대책 등 만일의 상황에도 대비하겠다"고 했다.
특히 "관계기관 및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가공식품 가격의 과도한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인상시기 분산 등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