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코로나19 영향 주요국 고용상황 금융위기보다 부진”

공유
0

한은, “코로나19 영향 주요국 고용상황 금융위기보다 부진”

코로나19 영향으로 금융위기 당시보다 고용상화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코로나19 영향으로 금융위기 당시보다 고용상화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료=한국은행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제상확이 악화된 가운데 세계 주요국의 고용상황이 금융위기 당시보다 부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에 따르면 최근 주요국 정책당국자가 고용회복을 강조하면서 향후 정책방향을 가늠하는 척도로서 고용지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용이 경기회복에 맞춰 어느 정도 동반되어 회복될지 불확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에 따르면 주요국의 고용상황은 전체적으로 금융위기보다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지난해 4월 코로나 이전대비 7.8% 감소했던 취업자수가 경제활동 재개 이후 상당부분 회복했으나 그 감소폭이 여전히 금융위기 당시 최대 2.8% 감소를 상회하는 수준이고 근로시간도 유럽을 중심으로 크게 감소해 아직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 지난해 4분기부터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고용 개선세가 완만해진 모습이다. 미국은 서비스업 회복이 지연되면서 고용 개선세가 주춤하며 유로지역의 경우 근로시간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아울러 경제활동참가율이 크게 낮아진 상황에서 장기실업과 영구해고가 증가하면서 경력단절, 구직의욕 상실 등에 따른 실업 고착화 조짐도 관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주요국의 고용회복 여건을 살펴보면 보건위기 진정에 따른 서비스업 정상화라는 개선 요인과 경제구조 변화 등으로 인한 제약 요인이 혼재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단기적으로는 올해 2분기부터 백신보급으로 보건위기 진정과 함께 경기회복이 가속화되면서 그간 위축되었던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유럽의 경우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 재정건전성 제고 등을 위해 정부의 고용지원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정부정책이 축소되면 업황이 회복되더라도 기업은 고용을 추가로 늘리기보다 근로시간 확대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고용회복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고용회복이 완만해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휴업 중인 영세업체 중 일부가 영업재개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데다 노동투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대형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고용개선이 제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코로나19로 노동절감형 자동화 투자, 온라인 소비 등이 확대됐는데, 이러한 현상은 팬데믹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조사돼 기존 일자리가 상당폭 소멸될 소지도 적지 않다.

한은은 “고용이 장기적으로도 확대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동화 등 새로운 경제구조에 적합한 크리에이티브 직종, 과학‧기술‧엔지니어링 등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근로자에게 관련 교육·훈련 기회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