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만9000가구 대비 3만여가구 늘어
‘수요자 중심’ 정부 주거복지정책 속도감 있게 추진
‘수요자 중심’ 정부 주거복지정책 속도감 있게 추진

올해 LH는 주거복지로드맵 등 정부 주거복지정책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임대주택 13만2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중 6만3000가구는 전세 시장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전세형 주택으로 공급한다. 기존 건설임대주택의 공실과 신규 매입하는 공공전세주택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공공전세주택은 공공주택사업자가 도심 내 다세대·다가구·오피스텔 등 신축 주택을 매입해 중산층 3~4인 가구에게 올해부터 2년간 한시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연말에는 영구임대·국민임대, 행복주택을 하나로 통합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을 국내 최초로 시범 공급한다. 기존 유형별 상이했던 소득·자산 기준 등이 일원화 돼 임대주택 신청이 쉽고 간편해진다. 시범 단지는 과천, 남양주 지역 내 2개 신축단지로 공급호수는 1000여 가구다.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150% 이하, 자산은 2억9200만 원, 거주기간 최대 30년, 임대조건은 소득에 따라 임대료가 차등화된다.
이와 함께 LH는 입주민 주거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 한 층 강화된 주거생활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 운영 중인 입주민 정신건강 서비스 ‘안심(安心) 프로젝트’를 모든 단지로 확대하고, 단지 내 작은 도서관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창출하거나 가용공간에 생활SOC시설을 유치할 계획이다.
서창원 LH 주거복지본부장은 "주거복지는 국민 보금자리 안정을 위한 필수 요소로, LH는 주거복지 전문기관으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생활 안전망 구축이라는 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