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연어 방류 행사 개최...낙동강하구 생태복원 사업 활성화 일환
관계기관과 연계해 낙동강 하구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체화할 계획
관계기관과 연계해 낙동강 하구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체화할 계획

수자원공사는 2일 낙동강 하굿둑 상류인 부산 사상구 삼락생태공원에서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함께 어린 연어 5만 마리 방류 행사를 가졌다고 이날 밝혔다.
이 행사는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사업의 하나로, 수산자원공단 동해생명자원센터로부터 어린 연어를 지원받아 진행됐다.
이번에 방류한 어린 연어는 낙동강하구에서 적응 기간을 거쳐 바다로 나간 뒤 북태평양의 수심 250m 해역에서 성장한다. 그리고 3~5년 후 다시 낙동강하구로 돌아와 산란하는 과정을 거친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 2015~2016년 낙동강에 어린 연어를 방류했다. 3~5년 후 회귀하는 연어의 특성과 지난해 발견 시기 등을 고려해 볼 때 방류의 효과가 가시화된 것으로 수자원공사는 분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자원공사는 향후 하굿둑 개방, 서낙동강 수질 개선, 물 재해 예방 등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하구통합물관리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기관 간 정보공유 시스템을 활용해 '낙동강하구 통합운영센터'를 설치하고, 현재 시범운영 중인 하굿둑 개방을 토대로 수량, 수질, 수생태, 도시환경을 아우르는 '하구 통합물관리'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수자원공사 박재현 사장은 "어린 연어 방류에 이어 다양한 어종의 어린 물고기 방류와 겨울 철새 먹이인 새섬매자기의 서식지 복원 등 지속적인 생태복원 사업을 추진해 낙동강하구에 적합한 맞춤형 통합물관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