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총수 부재 삼성 경영시계 ‘안개 속’

글로벌이코노믹

총수 부재 삼성 경영시계 ‘안개 속’

법원, 이재용징역 2년6개월 실형…법정구속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리는 국정농단 관련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리는 국정농단 관련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삼성이 '총수 부재'로 경영시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3년 만에 수감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은 그룹 컨트롤타워가 없는 상황에서 경영시계가 또 다시 안개속으로 빠지게 됐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 부회장 구속으로 전문경영인을 통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총수인 이 부회장이 없는 상황에서 굵직한 투자와 고용창출 등 주요 결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이에 따른 대외신인도 하락도 우려된다.

서울고법 형사1부는 18일 뇌물공여 등 혐의로 기소된 이 부회장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던 이 부회장은 이날 영장이 발부돼 법정에서 구속됐다.

삼성은 이 부회장 구속으로 이 부회장이 4년 전 수감될 때와 마찬가지로 총수 경영 체제에서 계열사별 전문경영인 체제로 바꿔 위기를 타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총수 부재에 따른 경영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굵직굵직한 신사업 인수·합병(M&A)과 미래사업 투자 등은 각 계열사 전문경영인이 앞장서서 진행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부회장이 구속에 따른 '옥중 경영'을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지만 4년전 구속수감 때와 마찬가지로 구치소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이에 따라 미래 신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이 늦춰져 촌음을 다퉈야 할 글로벌 무대에서 삼성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19일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 이 부회장 구속 충격에서 조금 벗어난 듯 전 거래일에 비해 2000원 (2.35%) 오른 8만7000 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주 장중 9만6800 원까지 오르며 10만 원대 진입을 눈앞에 뒀지만 이 부회장 구속으로 8만 원대로 주저앉았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