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대응책 마련한다지만 뾰족한 수 없어
또다시 은행들의 부담만 연장되는 셈
또다시 은행들의 부담만 연장되는 셈

16일 시중은행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코로나19 만기 연장 만료와 경기 침체 등 상황에 대비해 은행들의 건전성 등을 점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사별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충당금 확충 등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만기 연장 기간이 종료될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대응책은 뾰족한 수단이 있는 것이 아니고 만기를 재연장하는 수준에 머물면서 은행들의 부담이 연장되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코로나19 금융지원은 신규대출·보증이 총 166만6000건, 111조5000억 원 실행됐고 기존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은 75만2000건, 149조6000억 원 이뤄졌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130만3000건 133조5000억 원, 시중은행을 통해 108만3000건 126조4000억 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은 위원장은 이날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 등의 금융지원 조치 연착륙 방안은 내년 1월부터 금융권과 산업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금융위원장의 발언에 업계는 이미 금융지원 조치 연장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우려보다 시중은행들이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의 이자상환유예 조치 등의 규모는 현재 은행들이 적립한 충당금 등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만기 연장이 끝난다고 해서 모든 대출이 부실 대출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대출 관리를 면밀히 하고 있으며 지속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