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전 의원은 이날 부산시의회 브리핑 룸에서 스마트 신씨티 건설에 이어 제2호 공약인 ‘먹는 물 독립’을 선언했다.
이 전 의원이 이 자리에서 강조한 터널식 강변여과는 하천 혹은 호수주변의 모래여과층 등 자연지층을 통과한 지표수와 지하수를 양수시설로 취수하는 방법이다. 자연친화형 수질개선이 가능하고 정수약품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전 의원은 이를 위해 매리취수장 상류 11㎞ 지점(삼량진교~용산지구) 지하 20m에 각각 길이 500m 규모의 5개 취수터널을 만들어 하루 100만t의 청정원수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예비로 15만여t을 초고도 처리로 생산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부산시의 1일 상수도 생산량은 시설 용량의 76%인 100만t에 달한다.
그는 이어 “부산은 지난 2002년부터 2019년까지 18년간 모두 7900여억 원의 물이용부담금을 납부해 왔으나 같은 기간 부산시가 받은 사업비는 10.5%인 830여억 원에 불과하다”면서 “물이용부담금의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납부거부 등 범시민운동을 추진하는 등 강력 대응 하겠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부산시의 상수원수 공급과 정수체계의 문제점과 관련해 낙동강 평균 COD 농도는 2019년 기준으로 5.7㎎/L(최대 8.2㎎/L로 3~4급수에 해당)로 고도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활용이 가능한 수준이다. 여름철 녹조발생과 과불화화합물, 1-4다이옥산 등 유해화학물질 검출로 인해 시민불안이 고조되고, 소독제와 응집제 사용량 과다로 발암물질인 THM(트리할로메탄) 등 소독부산물의 생성과 응집제 알루미늄에 의한 알츠하이머 발병위험이 상존할 뿐 아니라 농약, 의약물질 등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불안도 가중되어온 게 현실이다.
한편 부산시민들은 이진복 전 의원의 물 자급자족 공약에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