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페셜 리포트] 바이든의 측근…누가 어느 포스트로 진출하나

공유
0

[스페셜 리포트] 바이든의 측근…누가 어느 포스트로 진출하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을 초대 국무장관으로 지명하는 등 첫 내각의 각료 후보 인선을 발표했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는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안보보좌관, 유엔 대사에는 흑인 여성인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전 국무부 차관보가 내정됐다.

블링컨은 북한 문제와 관련해선 강경한 모습을 보였던 인물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부장관을 지낼 당시 그는 강력한 압박으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부장관에 부임하자마자 북한의 두 차례 핵실험(4·5차)과 각종 탄도미사일 발사 등 연쇄 도발에 직면한 그는 한·미 단일 대오를 강조하면서 당시 박근혜 정부와 보조를 맞춰 촘촘한 대북 제재망을 구축했다. 2017년에는 NYT 기고문에서 북한의 행동 변화는 지도부가 바뀔 때만 가능할 것이라며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대북 압박을 강조했다. 다만 군사적 해결책은 실현 가능성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한편 본지에서도 예측한 바와 마찬가지로 바이든 정부 첫 내각의 핵심 포스트에 여성이 대거 중용될 것으로 보인다.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재닛 옐런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경우 바이든과 직접적으로 함께 일하지는 않았지만, 오바마 행정부시절인 지난 2014년 2월 연준의장으로 지명됐다. 당연히 당시 부통령이었던 바이든과 어느 정도 인연을 맺었을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여성인 에이브릴 헤인즈 전 중앙정보국(CIA) 부국장은 CIA 국장 또는 국가정보국국장(DNI) 후보에 올라 있다. 미셸 플러노이 전 국방부 차관은 최초의 여성 국방부 장관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샐리 예이츠 전 법무부 장관 대행은 법무부 장관 후보다.

국무장관과 함께 외교안보 투톱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낙점된 제이크 설리번은 1976년생으로 현재 43세다. 백전노장이 수두룩한 외교안보 분야에서 상당히 젊은 축에 속하는 편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1950년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행정부 이후로 가장 젊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된다.

블링컨이 2013년 오바마 당시 대통령에게 '차출'된 후 그 자리를 이어받아 바이든 당시 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이란 핵합의 타결에 중대한 역할을 하면서 존재감을 각인시켰고 '외교 신동'이란 별칭을 얻은 바 있다. 2016년 대선 때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외교총책을 맡기도 했다. 나이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요직을 거치며 짧은 기간에 외교안보를 관장하는 경험을 쌓은 셈이다.

이들 이외에 35년 경력의 흑인 여성 외교관 린다 토머스-그린필드가 유엔대사에 발탁된 점도 눈에 띤다. 국무부에서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를 지내고 2017년 물러난 토머스-그린필드는 현재 바이든 인수위원회가 구성한 전문가 그룹 '기관검토팀'에서 국무부 담당 팀장을 맡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유엔대사를 특히 장관급으로 격상해 국가안보회의에 참석시킬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자외교의 한 축을 담당하는 유엔대사에게 힘을 실어주는 셈으로 트럼프 행정부는 니키 헤일리 이후 유엔대사를 장관급 직책에서 제외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애브릴 헤인스 전 중앙정보국(CIA) 부국장이 국가정보국(DNI) 국장에 지명됐고,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은 바이든 당선인의 최대 역점 과제 중 하나인 기후변화를 담당할 대통령 특사로 활동할 예정이다.
바이든 당선인의 외교안보 인선은 트럼프 대통령과 대비되는 부분이 많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대 국무장관으로 낙점한 건 공직 경험이 없었던 엑슨모빌 최고경영자 렉스 틸러슨이었다. 바이든 당선인은 성명을 내고 "국가안보와 외교정책에 있어 흘려보낼 시간이 없다"며 "취임 첫날부터 국제무대 테이블의 상석에 미국의 자리를 되찾아오고 세계를 최대 도전에 맞서도록 결집시키고 우리 안보와 번영, 가치를 증진하도록 나를 돕는데 준비된 팀이 필요한 것"이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의 언론들은 이날 인선을 평가하며 "외교정책과 국가안보에 대한 경험을 강조한 인사"라면서 "3명 모두 정부 고위직에서 오래 일한 경험과 제도에 대한 깊은 존중을 가진 인물"이라고 평했다. 대표적으로 NYT는 "블링컨과 설리번은 공통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좋은 친구 사이로 외교사안에 있어 바이든의 목소리가 돼 왔다"면서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기조에 대한 공격을 주도한 것도 이들"이라고 전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측근 그룹은 과거 행정부에서 함께 일한 적이 있는 관료들이 중심이다. 바이든 후보는 정책에 관해서는 정치권 바깥 인물이나 이념적으로 경도된 인물 대신 경험 있는 전문가들의 도움에 의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앞선 지난 17일 백악관 참모들을 측근들로 임명했다. 주로 선거 캠프에 속해 있던 자신의 측근들을 대거 백악관 요직에 임명했다. 젠 오말리 딜런 선대본부장과 세드릭 리치먼드 하원의원 등 측근 9명이 백악관에 근무할 참모로 임명됐다.

백악관 비서실장에 임명된 론 클레인은 1989년부터 상원 법사위에서 변호사로 일하며 당시 델라웨어주 상원의원이던 바이든과 친분을 쌓은 바 있다. 클레인은 2009~2011년 바이든 부통령실에서 비서실장을 하기도 했다. 백악관 선임고문으로 내정된 마이크 도닐론도 1981년부터 바이든의 선거전략을 짜왔던 인물. 백악관 인사담당 국장으로 임명된 캐시 러셀은 1988년부터 바이든의 선거운동을 도왔고, 지난 2013년 8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바이든의 부인인 질 바이든 여사의 비서실장을 지낸 바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8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현장방역 관계자들과 화상회의를 가진 뒤 차에 오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8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현장방역 관계자들과 화상회의를 가진 뒤 차에 오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 정치사에서 첫 번째 여성 대선 캠프 선대본부장으로 이번 선거 운동을 진두지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딜런은 백악관 부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딜런은 앞서 임명된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과 함께 바이든 백악관의 총괄 업무를 맡게 될 전망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밖에 리치먼드 의원을 백악관과 시민사회 소통 등을 담당할 선임고문 및 대외협력실장에 임명했다. 리치먼드 의원은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에 이어 최근 인수위 공동위원장에도 임명된 바 있다. 그는 백악관 내에서 최고위급 흑인 참모가 될 전망이다.

한편 선거 캠프 공동위원장을 맡았던 스티브 리체티는 백악관 선임 고문에 임명됐다. 그는 바이든 전 부통령 시절 세 번째 비서실장을 맡은 측근으로 한때 백악관 비서실장 후보 물망에 올랐었다. 정치권에 발이 넓은 리체티는 의회와 백악관과의 협력 업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바이든 당선인은 자신의 오랜 측근이자 선거 캠프 수석 전략가였던 마이크 도닐런과 선거캠프 법률 고문 다나 레머스를 각각 선임 고문과 자문과 법률 고문으로 임명했다. 바이든 당선인의 오랜 측근이며 일정 담당 업무를 해홨던 애니 토마시니는 백악관에서도 대통령 일정을 총괄하는 부속실장을 맡게 됐다.

차기 퍼스트 레이디인 질 바이든 여사를 보좌할 인사도 발표됐는데, 버락 오바마 정부시절 우르과이 대사를 역임했던 줄리사 레이노소 팬탈레온이 질 여사의 비서실장을 맡고 선거 캠프의 부 책임자인 앤서니 버널은 선임 고문으로 일하게 됐음. 버널은 바이든 전 부통령 시절에도 '세컨드 레이디' 였던 질 여사의 비서로 활동한 바가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장녀인 이방카 등 ‘가족’과 충성파로 백악관을 운영했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가족 같은’ 소수의 핵심 측근을 중심으로 백악관을 운영할 것으로 보이다. 바이든이 발표한 차기 내각과 백악관 참모의 주요 인선을 살펴보면 ‘깜짝 인선’은 거의 없고 대부분 바이든과 오랜 기간 동안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최측근들로만 구성됐기 때문이다.

결국 바이든 대통령의 측근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발탁 스타일과는 달리 이미 알려진 인물들로 계속 채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부통령 재직 시절 인연을 맺었던 인물들은 어떠한 직위이든 계속 중용될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