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광수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 민⸱관 두루 거친 금융 전문가 호평

글로벌이코노믹

김광수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 민⸱관 두루 거친 금융 전문가 호평

은행연합회는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고 오는 27일 회장 선출을 위한 사원총회를 열 예정이다. 사진=NH농협금융지주이미지 확대보기
은행연합회는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고 오는 27일 회장 선출을 위한 사원총회를 열 예정이다. 사진=NH농협금융지주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차기 은행연합회장 단독 후보로 선출된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민⸱관을 두루 거친 금융 전문가라는 평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은 지난 23일 은행연합회가 개최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와 이사회에서 차기 은행연합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됐다.

김 회장은 회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후보에 선정될 만큼 그 능력과 경륜을 인정받고 있다. 은행산업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장기화와 디지털 전환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직면한 은행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1957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김 회장은 1983년 행정고시 27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김 회장이 처음 업무를 시작한 곳은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로 사회 생활의 시작이 금융이었다. 이후 금융감독위원회 은행감독과장, 금융정책과장,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금융정보분석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8년 4월부터 NH농협금융 회장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NH농협금융을 이끌며 2년 연속 1조 원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해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뛰어난 경영 능력도 발휘하고 있다. 이 같은 능력을 인정받아 지난 3월 NH농협금융 회장 연임에도 성공했다.

탄탄대로를 걸어온 것처럼 보이지만 김 회장의 인생역정은 순탄치 않았다. 비리의혹으로 공직에서 물러나야 했으며 무죄 선고 후 복직 등 고난도 많았다. 김 회장이 위기를 맞은 건 부산저축은행 사태였다.

김 회장은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 시절 대전저축은행을 인수하도록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김양 부회장에게 2000만 원, 2006년에서 2010년 부산저축은행 경영진에게서 금융위나 금감원 민원 편의를 봐달라는 부탁과 함께 총 4000만 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됐다. 1심은 징역 1년6개월과 벌금 1000만 원, 추징금 2800만 원을 선고했지만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진술의 신빙성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김 회장에 대한 비리의혹이 근거 없었음이 밝혀진 것이다.

김 회장은 무죄 판결 전에 파면당했으나 이후 공직에 복귀했다. 그러나 2014년 5월 금융위에 사표를 제출하며 공직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공직에서 물러났지만 김 회장은 금융권의 주요 인사가 이뤄질 때마다 주요 후보로 거론되면서 그의 존재감은 더욱 부각됐다.

NH농협금융 회장에 선임되자 금융권은 능력있는 사람이 됐다며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기대만큼 김 회장은 탁월한 경영능력을 발휘하며 NH농협금융의 순이익을 최대로 끌어 올렸다. 디지털 전환 등 최신 금융 환경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했다. 디지털 추진 최고협의회 개최, 고객 중심 디지털 전환 등에도 공을 들였다.

이 같은 김 회장의 역량은 은행연합회장 자리에 꼭 필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민간 출신의 경영능력과 유연함, 정부의 금융 정책을 재빠르게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등 민⸱관을 거치며 쌓은 경륜이 은행을 대표하는 자리에 최적이라는 것이다.

김 회장은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에 단독 추천되면서 사실상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다. 은행연합회는 오는 27일 차기 회장을 선출을 위한 사원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