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협력 '가스터빈 핵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과제' 성과물 실증 시연회 개최
고온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핵심부품...해외 제조업체 기술유출 안해 수입 의존 커
고온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핵심부품...해외 제조업체 기술유출 안해 수입 의존 커

중부발전은 지난 18일 충남 보령발전본부에서 '가스터빈 핵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과제' 성과물 실증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실증한 가스터빈의 국산화 고온부품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지원 하에 한국로스트왁스, 연세대, 성균관대, 창원대 등 산학연이 협력해 지난 5년간 연구개발한 결과물로서, 증기터빈과 달리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에 노출돼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부품이다.
가스터빈 운영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소기와 터빈 블레이드(날개) 등 고온의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부품은 제작사가 외부로 유출하지 않는 독과점 핵심기술로, 국내 발전소들은 거의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가스터빈의 운영비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박형구 중부발전 사장은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과 그린뉴딜정책 추진을 위해 천연가스(LNG)발전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가스터빈 핵심부품 국산화에 큰 성과를 이뤘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부품소재 중소기업의 고용창출과 기술력 향상 등 동반성장을 위해 공기업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