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재건축재개발 뛰어든 건설사 ‘컨소시엄’ 대세…조합은 "조건 유리 개별참여 좋은데..."

공유
0

재건축재개발 뛰어든 건설사 ‘컨소시엄’ 대세…조합은 "조건 유리 개별참여 좋은데..."

대연8구역 ‘롯데‧현산’, 덕소3구역 ‘대우‧GS’, 대구 명륜지구 ‘현대‧롯데’
정비사업 규제 강화에 ‘출혈경쟁’ 지양…미분양시 리스크 분담 차원

롯데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한 부산 대연8구역 재개발사업 조감도. 사진=해당 조합이미지 확대보기
롯데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한 부산 대연8구역 재개발사업 조감도. 사진=해당 조합
건설업계의 재건축‧재개발사업 수주전 트렌드가 ‘경쟁’에서 ‘화합’으로 바뀌고 있다.

재건축‧재개발사업에 정부 규제가 잇따르면서 지방 정비사업장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부각되자 건설사들이 ‘제살 깎아먹기’식 경쟁에서 벗어나 최근 경쟁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 성공을 위한 합동작전에 임하는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17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마감한 부산 대연8구역 재개발조합의 시공사 선정 입찰에는 롯데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도전장을 냈다. 포스코건설은 단독으로 참여했다.

대연8구역 재개발사업은 부산 남구 대연동 1173번지 일원에 아파트 3530가구를 짓는 대규모 사업이다. 공사비가 800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돼 올해 하반기 최대 정비사업 격전지 중 하나로 꼽힌다.

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 사업단은 양사 합해 부산 최대 주택공급 실적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사업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조합원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현산‧롯데사업단 관계자는 “풍부한 자금력과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조합원들께 진정성을 보여드리고자 입찰보증금 납입일 전에 입찰 보증금 전액을 현금으로 납부했다”고 전하며 “다수의 주거단지 시공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두 회사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부산 최고의 명품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최근 입찰을 마감한 남양주 덕소3구역 재개발사업의 시공권 경쟁 구도도 ‘대우‧GS건설 컨소시엄 vs 동부건설’ 2파전으로 압축됐다.

덕소3구역 재개발사업은 경기도 남양주 와부읍 덕소리 111-2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0층, 32개 동 아파트 2908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프로젝트이다. 총 공사비는 약 4000억 원 규모이다.
현대건설과 롯데건설도 ‘합종연횡’ 전략을 택했다. 최근 대구 명륜지구 재개발사업 시공사 입찰에 컨소시엄을 이뤄 단독으로 참여한 것이다.

앞서 조합이 개최한 현장설명회에는 현대건설,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화성산업 5개사가 참여했지만, 입찰에는 단 한 곳만 참여하며 유찰을 겪었다.

대구 명륜지구 재개발은 대구 중구 남산동 437번지 일원에 지하 2층, 지상 28층, 15개 동, 아파트 1174가구와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처럼 지방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에서 건설사 컨소시엄 참여가 늘고 있는 이유는 정부의 도시정비사업 규제 강화 기조 때문이다. ‘겹겹이’ 규제로 원활한 사업 추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공사비 조달이나 분양성적 등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합종연횡’ 전략을 택하고 있다.

도시정비업계 관계자는 “컨소시엄 구성 시 경쟁사 간 출혈경쟁 없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고, 미분양 시에도 위험 부담을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지방 대형사업장을 중심으로 컨소시엄 사례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건축‧재개발조합 내부에서는 컨소시엄보다는 건설사들의 단독 입찰 참여를 여전히 선호하는 분위기다. 실제로 연초 서울 정비사업 ‘대어’로 꼽혔던 서울 한남3구역과 갈현1구역은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컨소시엄(공동도급)’을 반대하는 조합원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조합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은평구의 한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2개 이상 여러 건설사가 컨소시엄 구성 시 조합원 의사결정 단계가 늘어나 사업 추진이 더딜 것이란 우려와 함께 컨소시엄보다는 단독으로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가 조합원들에게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조합원들은 컨소시엄보다는 개별 경쟁을 선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