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대만, 美최첨단 '시가디언' 드론 4대 구매...7000억 원 규모

공유
0

[글로벌-Biz 24]대만, 美최첨단 '시가디언' 드론 4대 구매...7000억 원 규모

대만이 미국산 최첨단 드론 'MQ-8' 시 가디언(Sea Gurdian)을 구입하기 위해 미 정부와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만이 장시간 체공 중고도 정찰기 시가디언을 도입하면 대만 해협과 그 주변 해상의 중국 해군 활동에 대한 정찰능력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대만을 지원해 중국을 견제하는 전략을 쓰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강력히 반발해 미중 관계는 더욱 나빠질 전망이다.

미국이 대만에 판매할 중고도 장기 체공 정찰 드론 MQ-9B '시가디언'. 사진=제너럴어토믹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이 대만에 판매할 중고도 장기 체공 정찰 드론 MQ-9B '시가디언'. 사진=제너럴어토믹스

대만 영자 신문 타이완뉴스는 6일(현지시각) 6명의 소식통을 인용한 로이터통신의 보도를 통해 미국이 대만에 최소 4대의 MQ-9B(시가디언) 드론을 판매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6억 달러(약 7105억원) 규모로 드론 4대·지상관제국·예비품·교육·지원 등이 포함된다.

대만은 이미 연초에 미국에 공격용 드론 판매를 요청했으며, 미국 측은 지난주 매각 가격 등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판매 건은 이미 미 국무부로부터 암묵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MQ-9B 시가디언 비행모습. 사진=제너럴어토믹스이미지 확대보기
MQ-9B 시가디언 비행모습. 사진=제너럴어토믹스

미국 드론 생산업체인 제너럴어토믹스가 생산하는 MQ-9B 시가디언은 대만이 보유한 알바트로스보다 비행거리와 체공시간이 월등히 뛰어나다고 타이완뉴스는 전했다. 대만 중산과학원이 개발한 알바트로스는 길이 5.3m, 날개너비 8.6m, 무게 55kg인데 대만은 현재 26대를 보유하고 있다.

시가디언은 미국과 영국, 이탈리아,프랑스 등이 운용하는 MQ-9 드론 시리즈의 최신형이다. 중고도 장시간 체공 정보 수집,감심,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이다.

제너럴어토믹스에 따르면, MQ-9B는 길이 11.7m, 너비 24m으로 꽤 크다. 최대 이륙중량은 5.67t, 연료탑재중량은 2.7t이다. 날개와 동체 중앙 등 총 9곳에 각종 무기 장착대를 갖추고 있다. 각종 센서와 무기 등의 탑재중량은 2.155t이다.
하니웰사의 터보프롭엔진을 기체 후방에 장착한다. 최고속도는 시속 약 389km, 상승한도는 12km정도다.

데이터링크 통신을 위해 C밴드, 가시권 밖 통신을 위해서는 X밴드와 Ku밴드등을 사용한다.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360도 해수면탐색레이더,자동정보체계(AIS) 등을 탑재한다.

비행거리는 1만1100㎞, 체공시간은 40시간 이상으로 알바트로스의 12시간 체공시간과 항속거리 300km보다 월등하다.

구매 계약이 성사되려면 미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달 중에 의회에 승인 요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사일 기술통제체제(MTCR)에서 해외 드론 판매를 늘리겠다는 계획을 추진한 이후 첫 판매 추진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거래가 최종 승인을 받을 경우, 수십년 만에 최악으로 치달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대만에 무기를 판매하는 것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되며 중국의 주권과 안보이익을 심각하게 해치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미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미 공동성명을 준수해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와 대만과의 군사연락을 중단해 양국 관계를 악화시키는 일을 피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이익"이라면서 "중국이 주권과 안보를 수호하겠다는 결심은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보니 글레이저 선임연구원은 어떤 작은 무기라도 '하나의 중국' 원칙에 어긋나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특성상 공격용 무기를 판매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