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세계 항공산업이 위축된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은 과감한 유동성을 통해 일자리·기업 생존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경련에 따르면 미국은 여객항공사 임금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여객항공사에 250억 달러(약 30조4000억 원)를 지원하며 일자리 사수에 나섰다.
독일은 기간산업지원 프로그램을 활용, 루푸트한자에 90억 유로(약 12조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반면 우리나라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에 2조9000억 원, 저비용항공사에 3000억 원뿐이라고 지적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5월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항공여객 수요는 지난해보다 최대 7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도 올해 글로벌 항공업계의 순손실이 843억 달러(약 1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5월 국제선 여객이 98.2% 감소하고, 전체 여객은 80.3% 감소하는 등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