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지난해 말 기준 라임의 환매연기 펀드는 4개 모(母)펀드와 모자(母·子) 관계에 있는 173개 자(子)펀드 등 총 1조6679억 원 규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라임이 국내에 투자한 모펀드 중 1조2337억 원은 자산실사결과 등을 반영한 결과 손실액이 최대 6115억 원으로 예상됐다. 피해액은 확정되지 않은 금액으로 최종 단계에서 달라 질 수 있다.
환매가 연기되면서 투자자들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라임자산운용은 불완전판매, 사기 등 혐의를 받고 있다. 라임 사건은 단순 사기를 넘어 정경 유착의 권력형 비리 의혹까지 낳고 있다. 라임의 전주로 알려진 김모(46) 씨는 잠적한 상태로 김 모 씨는 금감원에서 청와대로 파견됐던 김 모 전 행정관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씨는 로비를 통해 재향군인회 상조회를 인수·재매각했다는 등의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라임사태를 불완전판매로 보고 있지만 이와 함께 라임이 자산운용업계에서 급성장 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도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와 함께 금융당국의 관리부실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경율 전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은 23일 SNS에 올린 글에서 “금융당국이 적절한 관리·감독을 못 해 피해를 키워 온 만큼 실사보고서를 공개하라”고 밝혔다. 라임이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기업 14곳의 주가 현황도 공개했다.
김 전 위원장은 “업체 전체로 보면 1조917억 원을 조달해 설비투자 등에는 866억 원을 썼다”며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14개 업체를 합해 7명에 불과했다”고 강조했다. 주가를 공개한 기업들은 주가가 최소 29%에서 최대 96%까지 하락했으며 거래정지 기업도 5곳이나 된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