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정황은 로이터통신이 6일(현지 시간) 이란이 중부 포르도의 지하 핵 시설에서 원심분리기에 가스 주입을 시작했다고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2015년의 핵 합의는 포르도에서의 농축 활동을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스 주입 사실만으로도 우라늄 농축 활동 재개를 위한 준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번 가스 주입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사관도 입회한 것으로 알려져 보도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가스를 주입하여 원심분리기를 가동시키면 자연적으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핵분열 가능한 우라늄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농축도 5% 이하의 우라늄은 원전 연료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무기급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추출 우라늄의 농축도를 90%까지 높이면 언제든지 핵무기로의 전용이 가능하다.
지난 4일 이란 원자력청의 사레히 장관은 이행 수준 감축 ‘3단계’까지의 우라늄 생산은 하루에 약 450g이었으나 현재는 5000g을 초과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관은 이어 우라늄 농축에 사용하는 원심 분리기 ‘IR-6’의 수가 60기까지 늘어났다며, 감축 ‘제4단계’의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사레히 장관은 6일 포르도에서 농축도 5%의 우라늄을 제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미의 비난이 이란 지도부를 흔드는 듯한 조치였다. 하지만 결과는 몇 시간 뒤 완전히 완전히 뒤바뀌었다. 구미가 안심하기도 이전에 이란은 이미 원심분리기에 가스 주입을 시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초 이란은 이러한 조치에 대해, 미국의 JCPOA 위반 및 미국에 의한 대이란 제재의 발동, 또 JCPOA의 나머지 멤버들(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러시아)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는 현실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미 농축 4단계에 돌입했다는 사실만으로도 JCPOA 나머지 멤버들은 등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긴박한 상황 전개에 핵을 둘러싼 이란과 구미의 갈등은 최고조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김길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