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 본격 가동…일본 수출규제 대응

글로벌이코노믹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 본격 가동…일본 수출규제 대응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열린 제1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에서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미지 확대보기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열린 제1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에서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하는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가 본격 운영된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R&D)에 2022년까지 5조 원 이상을 투입해 관련 정책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4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제1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특위)'를 열었다. 특위는 소재·부품·장비 R&D 관련 정책과 투자 전략, 성과관리 방안 등을 심의·의결하는 민·관 합동조직으로 지난달 출범했다. 이 조직은 총 24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김성수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김상식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공동으로 맡았다.

특위는 이날 산하에 실무위원회를 둔다는 내용의 '운영방안과 운영세칙'을 확정했다. 실무위원회는 정책과 제도 관련 사항과 성과평가 둥 규제 혁신에 대한 안건을 미리 검토하는 '정책제도 실무위원회', 투자전략을 마련하고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핵심품목 선정을 지원할 '기술 실무위원회'로 구성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소재·부품·장비 R&D(연구개발) 등 국가 현안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공모 없이 부처가 R&D 기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개정 추진계획도 논의했다.
규정 개정안에는 정부 R&D 사업에 대기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연구비 부담 비율을 50%에서 25%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 정부 R&D 사업 성과를 구매한 실적이 있는 기업에는 R&D 과제 선정에서 3% 이내의 가점을 부여하는 것 등의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이런 내용의 개정안을 이달 중 입법 예고하고, 다음해에 시행될 수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또 특위는 8월 발표된 '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에 대한 실행계획안을 보고 받았으며,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방안'과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분석 현황 및 향후 계획' 등도 비공개로 논의했다.

김 과기혁신본부장은 "특위에서 신속하고 유연한 R&D를 추진하는 동시에 긴 안목의 기초·원천 기술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공동위원장은 "산업계와 연구계, 정부와 민간의 가교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