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측은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간 근무조만 운영하고 2교대 근무도 1교대로 바꾸는 등 근무형태 변경을 노조에 통보했다.
그러나 노조는 "법으로 보장된 단체행동에 따라 결정한 전면파업에 대한 일방적인 부분 직장폐쇄 조치로 노사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며 "이는 노조의 지침을 따르는 사람과 따르지 않는 직원을 분리, 노조의 힘을 떨어뜨리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르노삼성은 생산직 직원 1800명을 주·야간조로 나눠 부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지난달 노사는 어렵게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그나마 노조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되면서 타협이 사실상 어려워졌다.
노조는 지난 5일부터 사측에 전향적인 제시안을 다시 내놓을 것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의 전면파업 결정 이후에도 출근율은 70%에 이르고 있지만 생산량은 기존의 10~20%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조립라인 등 일부 라인 근무자 출근율이 현저히 낮아 시간당 생산량(UPH)이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부분 직장 폐쇄는 더 이상 노조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라며 “주간조만 운영하는 비상 생산체제에 들어간다는 의미”라고 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