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사 대상은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등 5개 은행이다. 하나은행은 서울서부지검으로, 국민은행은 서울남부지검에 사건이 배당됐다. 지방은행은 지역별 지검에서 수사를 진행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실이 처음 공개된 이후 시중은행권을 중심으로 작년 12월부터 2개월 간 채용비리 실태 현장을 점검 진행했다. 점검 결과 △KEB하나은행이 13건 △KB국민은행 3건 △대구은행 3건 △부산은행 2건 △광주은행 1건의 채용비리가 밝혀졌다.
발견된 총 22건의 채용비리 형태를 보면 △채용 청탁이 9건 △특정(명문대) 대학 출신을 합격시키기 위한 면접점수 조작이 7건 △채용 전형의 불공정이 6건이었다.
또 우리은행 외에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에서도 VIP 리스트를 만들어 특혜를 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강도 높은 검찰 조사가 예고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2016년 공채 때 55명의 이름이 적힌 리스트를 작성했다. 이들은 모두 서류전형을 통과했으며 6명은 면접점수를 조작해 합격했다.
국민은행은 20명의 리스트가 확보됐다. 2015년 120명의 최종합격자 중 이들에게만 ‘합격 요망’ ‘통보 요망’ 등의 별도 표시가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이 리스트에 윤종규 회장의 친인척이 포함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우선 2015년과 2016년에 한해 VIP 리스트를 확인했다. 해당 은행들은 일단 공식 입장을 통해 “특혜 채용은 없었다”며 관련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이후 검찰 조사에서 적극 소명하겠다는 입장이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5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아 설명절을 앞둔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조사는 정확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확인 작업은 검찰에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환 기자 gba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