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비트코인 또 와르르 나스닥선물↓ 오미크론+ 헝다 디폴트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비트코인 또 와르르 나스닥선물↓ 오미크론+ 헝다 디폴트

미국 뉴욕증시 비트코인  시세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비트코인 시세
미국 뉴욕증시 지수 선물이 혼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우 지수선물은 오르고 나스닥 기술주 선물을 떨어지고 있다. 지수 선물 시세는 뉴욕증시 정규장에서의 나스닥 다우지수의 시세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오미크론 쇼크로 요동치고 있는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다우지수가 또 한 번의 변곡점을 맞고 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또 떨어지고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주말 22% 폭락하며 4만2천달러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더리움도 폭락했다. 이후에도 가상화폐는 약세다. 비트코인 가격는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이 글로벌 금융시장의 새로운 불안 요소로 떠오르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다 연준 테이퍼링 속도전도 비트콩니 하락의 요인으로 지적 되고 있다.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우려로 나스닥 기술주가 떨어지면서 가상화폐에 악재가 됐다는 진단도 나온다.

6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지난 주말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59.71포인트(0.17%) 하락한 34,580.08로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8.67포인트(0.84%) 떨어진 4,538.43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95.85포인트(1.92%) 하락한 15,085.47로 마쳤다. 뉴욕증시에서는 11월 고용 보고서 지표와 오미크론 변이,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발언 등이 이슈가 됐다.

이번 주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즉 연준의 테이퍼링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와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변이 종인 '오미크론' 확산이 가장 큰 변수이다, 주말경에 나올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몇 달 더 일찍"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끝내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12월 14~15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테이퍼링 속도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표현을 없앴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테이퍼링을 서두를 것이라는 인상을 줬다. 12월10일에는 CPI가 발표된다. 전년 대비 상승률이 6.7%로 10월의 6.2%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뉴욕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2021년 12월7일= 무역수지, 생산성·단위노동비용(수정치) 경기낙관지수, 소비자신용
12월8일= JOLTs (구인·이직 보고서 캠벨수프, 게임스톱 실적
12월9일=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도매재고
12월10일= CPI 실질소득,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예비치)
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지수 선물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지수 선물


6일 아시아 증시에서는 코스피가 오르고 일본 중국등은 하락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 우려, 디디추싱 등과 관련한 중국 당국의 규제 압박, 미국 연준의 조기 긴축 가능성 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특히 중국증시는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 및 규제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헝다 계열사인 징청은 당초 채권이자 지급일인 지난달 6일 2건의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 중국의 또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 양광 100도 디폴트를 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7일 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100억 위안어치를 매입했다. 지준율도 내렸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중국발 악재와 호재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면서 널을 뛰고 있다. 한동안 잠잠하던 헝다그룹의 파산 리스크가 다시 변수로 등장한 가운데 지준율 인하 가 발표되면서 랠리가 이어졌다. 8일로 예정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시사하면 한국 증시의 수급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헝다 파산 가능성이다. 코스피지수는 4.92포인트(0.17%) 오른 2,973.25에 마쳤다. 이날 지수는 13.51포인트(0.46%) 떨어진 2,954.82에 개장해 2,954.82까지 낙폭을 키웠지만 이를 모두 만회하고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수급 주체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00억 원, 982억 원을 사들이며 지수를 끌어올렸고 개인은 1,694억 원을 팔아치웠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11%), 삼성SDI[006400](0.87%), 현대차[005380](0.24%), 기아[000270](1.70%) 등이 상승했다. 네이버(-2.49%), 카카오[035720](-2.02%), 카카오뱅크[323410](-2.67%), 카카오페이(-1.47%), 크래프톤[259960](-5.50%) 등 플랫폼·게임주는 대체로 내렸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면서 시장 전반에 공포 분위기가 팽배한 모양새다. 특히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 당분간 반등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두나무의 디지털자산 심리지수도 크게 하락했다.
암호화폐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공포·탐욕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높다는 뜻으로 통상 코인 시장이 위축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뉴욕증시 비트코인  시세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비트코인 시세

미국 뉴욕증시 지수 선물이 혼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우 지수선물은 오르고 나스닥 기술주 선물을 떨어지고 있다. 지수 선물 시세는 뉴욕증시 정규장에서의 나스닥 다우지수의 시세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오미크론 쇼크로 요동치고 있는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다우지수가 또 한 번의 변곡점을 맞고 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또 떨어지고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주말 22% 폭락하며 4만2천달러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더리움도 폭락했다. 이후에도 가상화폐는 약세다. 비트코인 가격는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이 글로벌 금융시장의 새로운 불안 요소로 떠오르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다 연준 테이퍼링 속도전도 비트콩니 하락의 요인으로 지적 되고 있다.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우려로 나스닥 기술주가 떨어지면서 가상화폐에 악재가 됐다는 진단도 나온다.

6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지난 주말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59.71포인트(0.17%) 하락한 34,580.08로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8.67포인트(0.84%) 떨어진 4,538.43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95.85포인트(1.92%) 하락한 15,085.47로 마쳤다. 뉴욕증시에서는 11월 고용 보고서 지표와 오미크론 변이,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발언 등이 이슈가 됐다.

이번 주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즉 연준의 테이퍼링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와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변이 종인 '오미크론' 확산이 가장 큰 변수이다, 주말경에 나올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몇 달 더 일찍"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끝내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12월 14~15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테이퍼링 속도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표현을 없앴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테이퍼링을 서두를 것이라는 인상을 줬다. 12월10일에는 CPI가 발표된다. 전년 대비 상승률이 6.7%로 10월의 6.2%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뉴욕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2021년 12월7일= 무역수지, 생산성·단위노동비용(수정치) 경기낙관지수, 소비자신용
12월8일= JOLTs (구인·이직 보고서 캠벨수프, 게임스톱 실적
12월9일=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도매재고
12월10일= CPI 실질소득,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예비치)
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지수 선물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지수 선물


6일 아시아 증시는 코스피가 오르고 일본 중국등은 하락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 우려, 디디추싱 등과 관련한 중국 당국의 규제 압박, 미국 연준의 조기 긴축 가능성 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특히 중국증시는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 및 규제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헝다 계열사인 징청은 당초 채권이자 지급일인 지난달 6일 2건의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 중국의 또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 양광 100도 디폴트를 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7일 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100억 위안어치를 매입했다. 지준율도 내렸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중국발 악재와 호재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면서 널을 뛰고 있다. 한동안 잠잠하던 헝다그룹의 파산 리스크가 다시 변수로 등장한 가운데 지준율 인하 가 발표되면서 랠리가 이어졌다. 8일로 예정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시사하면 한국 증시의 수급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헝다 파산 가능성이다. 코스피지수는 4.92포인트(0.17%) 오른 2,973.25에 마쳤다. 이날 지수는 13.51포인트(0.46%) 떨어진 2,954.82에 개장해 2,954.82까지 낙폭을 키웠지만 이를 모두 만회하고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수급 주체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00억 원, 982억 원을 사들이며 지수를 끌어올렸고 개인은 1,694억 원을 팔아치웠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11%), 삼성SDI[006400](0.87%), 현대차[005380](0.24%), 기아[000270](1.70%) 등이 상승했다. 네이버(-2.49%), 카카오[035720](-2.02%), 카카오뱅크[323410](-2.67%), 카카오페이(-1.47%), 크래프톤[259960](-5.50%) 등 플랫폼·게임주는 대체로 내렸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면서 시장 전반에 공포 분위기가 팽배한 모양새다. 특히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 당분간 반등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두나무의 디지털자산 심리지수도 크게 하락했다.
암호화폐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공포·탐욕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높다는 뜻으로 통상 코인 시장이 위축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