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청정 수소연료 생산 로드맵 제시...2050년까지 5000만톤 생산

공유
1

[초점] 美, 청정 수소연료 생산 로드맵 제시...2050년까지 5000만톤 생산

그랜홈 에너지부 장관, 발표…온실가스 배출 10% 감축 목표
9월까지 '수소 허브' 선정해…탈탄소화로 에네지 게임 처에니저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 사진=로이터
7일자 7면 사이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부가 5일(현지시간)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청정 수소 연료(clean hydrogenfuel)를 5000만 톤(metric ton) 생산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계획이 실행되면 미국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그때까지 현재보다 10% 줄어든다.

CNN 비즈니스는 이날 바이든 정부가 청정에너지 체제로 전환을 위해 풍력이나 태양력을 넘어 수소 에너지를 ‘게임 체인저’로 여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수소 연료 생산에 화석 연료가 사용될 수 있고, 이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지 아직은 불확실하다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제니퍼 그랜홈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청정 수소는 탄소 제로 기술 분야에서 스위스 아미 나이프 (꼭 갖춰야 할 필수품)와 같고, 잘 되면 이것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랜홈 장관과 알리 자이디 백악관 기후 변화 고문은 오는 9월까지 미국 내 ‘수소 허브’를 선정해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이디 고문은 “탄소 허브가 수소 연료 경제의 중심지가 될 것이고, 이를 통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데 근본적인 변화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랜홈 장관은 “중장비 산업과 교통 분야 등 가장 어려운 분야에서도 탈탄소화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며 “청정 이동 가능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랜홈 장관은 2030년 이전에 미국에서 청정 수소 관련 일자리가 10만 개가량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이에 앞서 온실가스를 줄이려고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 기준을 강화했다. 미 환경보호청(EPA)은 지난달 11일 발표한 새 규정안을 통해 화력발전소들이 2038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현 수준에서 90%가량 줄이거나 포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EPA는 새 기준안이 도입되면 2042년까지 최대 6억 1700만t(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미국에서 운행 중인 차량의 약 절반인 1억 3700만대의 연간 배출량에 해당한다. 지난 2010년 미국 전력 생산의 45%를 차지했던 석탄의 비중은 현재 20% 수준이고, 천연가스가 40%,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나머지 40%를 담당하고 있다.

수소는 생산 과정에 따라 크게 그레이 수소와 블루 수소, 그린 수소로 나뉜다. 메탄과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화학 반응시켜서 얻는 그레이 수소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탄소를 배출하는 단점이 있다. 블루 수소는 탄소 포집 기술 등을 활용해 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인 것이다. 그린 수소는 신재생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로 생산 과정에 탄소 배출이 전혀 없다. 그러나 그린 수소는 그레이 수소보다 2배 이상 비싸다. 본격적 상용화를 위해서는 가격이 더 내려가야 한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수소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청정 수소 관련 세액공제와 수소 생산 기업에 대한 정부가 직접 지원한다.
IRA는 미국 내 신규 청정 수소 생산시설에 생산 세액공제(Production Tax Credit·PTC)와 투자 세액공제(Investment Tax Credit·ITC)를 적용한다. 생산 세액공제생산하는 수소 1㎏당 최대 3달러, 투자 세액공제는 투자분에 대한 최대 3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법은 또한 이산화탄소(CO2)를 줄이는 탄소 포집·저장(CCS)에 대한 세액공제와 현금 지원을 CO2 1t당 최대 85달러 수준으로 인상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 수소뿐만 아니라 CCS를 활용한 블루 수소 생산 분야도 정부가 지원한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