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소형 SUV 모델Y 보다 낮은 가격에 출시 경쟁

전기차 선두업체인 테슬라의 소형 SUV인 모델Y는 현재 기본 사양 제품이 6만 달러가량이다. 다른 전기차업체들은 이보다 낮은 가격으로 소형 SUV를 출시하고 있다. 전기차업체들은 전기차 SUV가 전체 전기차 시장 확대에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포드는 기본 사양 4만 5,000달러 가격에 머스탱 마하-E 모델을 선보였다. GM도 전기차 버전 블레이저(Blazer)를 4만 5,000달러 선에서 출시한다.
전기차 쉐비 이퀴녹스(Equinox)의 기본 가격은 3만 달러이다. 쉐비는 이 모델을 내년부터 판매한다. 쉐비는 이퀴녹스가 저가 전기차 수요자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 아이오닉5와 폭스바겐의 ID.4는 4만 달러 선이다. 닛산이 곧 출시할 아리아(Ariya)는 4만 7,000달러가량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소형 SUV 전기차 모델은 한번 충전으로 300마일 (약 482km) 가량을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쉐보레의 블레이저는 한 번 충전으로 247 마일(398km)을 달리고, 이 보다 사양이 높은 차는 320마일 (515km)까지 달릴 수 있다.
쉐보레는 GM의 전동화 전략에 발맞춰 '2024 블레이저 EV'를 북미 시장에 19일 공개했다. 블레이저 EV는 휘발유 모델인 2018 블레이저의 디자인을 계승했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AP와 인터뷰에서 “보다 많은 전기차 고객을 끌어들이려면 가격대를 3만~3만 5,000달러 선으로 낮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 비율이 처음으로 5%대를 넘었다. 컨설팅 업체인 콕스 오토모티브는 14일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미국에서 팔린 신차 중에서 전기차의 비율이 5.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이 기간에 신차 판매율은 20%가 감소했다.
전기차는 여전히 기존 자동차보다 가격이 비싸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평균 가격은 4만 6,000달러이나 전기차 신차는 6만 6,000달러로 집계됐다. 콕스 오토모티브는 지난해 2분기의 전기차 판매 비율은 2.7%였으나 1년 사이에 2배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2분기 순수 전기자동차의 판매량은 19만 6,788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만 8,235대에 비해 66.4%가 증가했다. 미국에서 하이브리드 차량까지 포함하면 전체 전기차 판매 비율이 12.9%에 달했다.
미국에서 올해 2분기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보면 테슬라가 66%로 전분기보다 9%포인트 감소했으나 여전히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테슬라의 2분기 판매량은 벤츠와 BMW, 아우디, 렉서스 등 고급 브랜드보다 많았다.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 비율이 올라가고 있으나 중국과 유럽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편이다. 중국에서는 신차 중에서 전기차 판매 비율이 20%에 달하고, 유럽에서는 10%에 이른다.
미국의 전기차 완성차업체인 GM, 포드, 스텔란티스와 도요타 최고경영자(CEO)들이 최근 공동으로 미 의회에 서한을 보내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7,500달러의 세액 공제가 일괄 적용되는 자동차의 상한선을 폐지해달라고 요구했다. 미국은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려고 세제 지원 혜택을 제공하되 완성차업체별로 그 대상을 20만대로 제한했다.
미국의 일부 전기차 제조업체는 이 상한선에 이미 도달했다. 이 상한선을 넘으면 전기차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세액 공제 혜택이 단계적으로 줄어들어 결국에는 더는 지원을 받을 수 없다. GM과 테슬라는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20만 대가 넘었다. 도요타는 올여름에 이 상한선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드의 전기차 판매량은 현재 16만 대가량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부는 전기차 충전소 50만 개 건설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백악관은 미국의 고속도로에 50마일 (약 80km)마다 1개의 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바이든 정부는 미국의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가 충전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전기차 구매를 대폭 늘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의 절반가량이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차지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지원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