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연준 지도부, ‘고용이 먼저 vs 물가가 중요’ 양분

공유
0

美 연준 지도부, ‘고용이 먼저 vs 물가가 중요’ 양분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본부 청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본부 청사. 사진=로이터

미국 법률으로도 규정돼 있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의 핵심 임무는 완전고용을 추구하면서도 물가를 안정시키는 일이다.

그러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은 항상 어려운 과제이고 연준 지도부를 종종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특히 최근 미국 경제가 완연한 회복세에 진입했음에도 고용시장의 한파가 녹지 않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물가 상승세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현 상황에 대한 진단과 향후 해법을 놓고 연준 지도부 내에서 커다란 이견이 노정되면서 시장이 어디에 장단을 맞춰야 할지 혼란스러워 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연준 지도부의 내부 의견이 갈라진 상태에서는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역대급 통화 확대 정책이 어떻게 변경될지, 그에 따른 금리 인상 시기는 언제가 될지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물가불안이 먼저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 정부의 코로나발 역대급 경기부양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 극대화를 위한 양적 완화 정책에 같은 목소리를 내왔던 현재 연준 지도부는 현재 두 진영으로 갈라져 있는 상태.

그 이유는 고용 회복에 방점을 찍느냐, 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의견이 나뉘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 지도부를 구성하고 있는 인사는 총 18명. 이 가운데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로 분류되는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비롯해 7명 정도가 물가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최근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는 물가를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으니 양적 완화 기조를 거둬들이고 조기 금리 인상에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려스러운 물가 상승이라는 변수가 새로이 출현한만큼 금리 인상 시점을 앞당겨 내년부터 검토해야 한다는게 이 진영의 입장이다.

특히 그동안 통화 팽창 기조를 지지해 대표적인 비둘기파로 통했던 불러드 총재까지 가세해 인플레이션 관리에 무게를 둔 진영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양상이다. 불러드 총재는 “전에 없었던 새로운 리스크가 구체화됐으므로 향후 정책을 펴는데 있어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연준이 적극적으로 정책 기조를 바꿔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고용회복이 먼저

반대 진영에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것은 인정하면서도 전체적인 경제 회복세에도 고용시장이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는 점을 근거로 섣불리 금리 인상에 나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당장은 고용시장 회복 여부를 마저 지켜본 뒤 금리 인상은 2023년 이후에 검토해도 늦지 않다는 것인데 로이터에 따르면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위시해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이 이 의견에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바킨 총재는 “진정한 고용시장 회복이 아직 되지 않고 있는데 올가을 정도면 고용사정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물가 오름세도 올 4분기께면 기업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꺾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현재의 물가 상승세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시각과 같은 맥락이다.

로이터는 “실업률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용안정을 위한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을 뒷받침하는 양적 완화 정책을 조기에 거둬들이게 되면 고용시장의 회복 가능성은 더욱 줄어든다는 이들의 시각”이라고 전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카플란 총재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는 “코로나 사태가 터진 이후 은퇴한 55세 이상 미국인이 250만명에 달하는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다시 나올지는 불투명하다”면서 “실업률이 현재 공식적으로 집계되는 5.8%보다 실제로는 올라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윌리엄스 총재는 “경제 회복세가 (고용시장을 포함해) 전체적으로 이뤄지는 전제가 있어야 저금리 기조에서 탈피해 금리 인상 여부를 검토하는게 가능하다”면서 “고용시장은 아직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할 때 아직 충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혜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