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조정' 통해 효과 노려

주독미군의 감축과 더불어 주목을 받기 시작한 주한미군 철수론은 처음부터 주한미군의 완전 철수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 주독미군 역시 약 2개 사단 정도의 병력은 그대로 주둔하는 형태임을 살펴볼 때 주한미군도 완전 철수는 애초부터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한미군 역시 일부 감축, 또는 1~2개 여단 규모의 순환배치를 통한 '조정'이 일어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비록 의회가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서 주한미군 조정을 통해 이 지역에서의 미국의 국가이익을 지켜냈다는 점, 어느 정도 평화를 이루었다는 점 등을 어필하기 위해 이러한 조정은 높은 가능성이 있다.
실제 주한미군의 완전 철수는 인력과 장비를 철수하고 환경영향평가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등 경제적·안보적 측면 모두에서 수지가 맞지 않는 일이기 때문에 주한미군의 완전 철수 보다는 순환배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