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포스코건설·현대건설·철도연 등 공동 개발
도심 경전철 공사 등에 활용...공사로 인한 교통혼잡 줄여줄 전망
도심 경전철 공사 등에 활용...공사로 인한 교통혼잡 줄여줄 전망

4일 한국건설교통신기술협회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 등에 따르면 GS건설, 포스코건설, 현대건설, 철도연, 대산시빌테크날러지, 동아이엔지, 선구엔지니어링은 공동으로 '저심도 도시철도 지하구조물 시공기술'을 개발, 최근 국토교통부 건설신기술 제859호에 지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기술의 정식명칭은 '프리캐스트 벽체 및 슬래브를 개착과 동시에 조립 방식으로 축조하는 저심도 지하 구조물 탑다운 시공기술'이다.
이 기술은 지하 10m 이내의 저심도 도시철도 현장에서 지반 공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PC) 벽체와 슬래브 구조물을 조립해 축조하는 시공기술이다.
미리 제작된 구조물로 시공해 공사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사 중 도로를 점유하는 폭이 작아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저심도 도시철도는 지하 10m 이내 깊이에 건설되는 지하철도를 통칭하는 말로, 지하 15~25m로 건설되는 기존 지하철도와 구분되며 도로 선형을 따라 건설되기 때문에 자동차와 동일하게 주행할 수 있다 그 동안 저심도 터널은 주로 도로 지하차도에만 적용해 왔다.
이 기술의 핵심은 조립식 PC벽체를 흙막이벽체 겸 영구벽체로 사용하고 조립식 PC 슬래브를 버팀보로 겸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존 흙막이 가시설 공법보다 공사기간은 51%, 공사비는 총원가 기준 16% 이상 줄일 수 있다. 공사 중 도로를 점유하는 폭도 작아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신기술이 국내 도심 경전철 등 활용폭이 넓을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지하철도 터널은 물론 지하차도, 지하보도, 하수관거, 케이블관거 등 지하공간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해 해외 상용화까지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