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철강시장 공급과잉 완화로 수요 회복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철강시장 공급과잉 완화로 수요 회복

중국 사강그룹의 공장에서 녹인 금속을 가공하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사강그룹의 공장에서 녹인 금속을 가공하고 있다.
철강업계 소식통들은 S&P글로벌 커뮤니티 인사이트에 수요 감소 추세가 가까운 시일 내에 바닥을 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급 과잉인 중국 철강시장이 곧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시장이 미온적인 수요에 직면한 상황에서 중국의 하루 선철 생산량은 지난 4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철강시장을 압박하고 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중국 철강시장의 공급과잉이 적어도 이달에는 완화될 것 같지 않았지만 일부 업계에서는 하락세가 단기적으로 바닥을 칠 것으로 보고 수요전망을 낙관하고 있었다.

수요전망 개선은 중국이 지난 5월 15일 1주택자에 대한 부동산 대출금리를 0.2%포인트 인하한 최근 움직임에서 주로 비롯될 것으로 보여 중국이 디레버리징(deleverage, 부채 축소)에서 부동산 부문 지원으로 전환했음을 보여준다.
비록 이 조치가 단기적으로 부동산 매매나 신규 주택 착공의 하락세를 반전시키지는 못하겠지만, 이는 자금난에 처한 개발업자들의 통제 불능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막기 위해 도입되어야 할 더 많은 지원 정책을 예고하고 있어 철강 수요의 추가 압박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 중요한 것은, 코로나19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들이 곧 성과를 보이기 시작할 것이며, 이는 국내 물류 이동을 원활하게 할 것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중국의 대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규제와 폐쇄가 4월 경제지표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으며 인프라, 부동산, 제조업 부문의 경기부양책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일부 시장 소식통들은 물류와 여행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대로 중국의 재정과 통화 정책이 인프라 투자와 제조업 생산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의 소매 상품 소비도 이와 함께 개선되어 제조업 철강 수요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NBS)에 따르면 중국의 4월 선철 생산량은 7678만 톤으로 하루 평균 255만 톤으로 전월 대비 10.80% 증가했다.

4월의 수치는 NBS가 2021년 4월 선철 생산량을 7597만 톤에서 7678만 톤으로 수정하면서 연간 기준으로 변동이 없었다.

중국의 4월 조강 생산량은 9278만 톤으로 여전히 전년 동월 대비 5.20% 낮았지만, 하루 생산량은 309만 톤으로 전월 대비 8.60% 증가해 2021년 7월 이후 처음으로 300만 톤 수준을 돌파했다.

NBS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까지 중국의 선철과 조강 생산량은 총 2억830만 톤과 3억3615만 톤으로 여전히 전년 대비 각각 9.40%와 10.30% 낮은 수준이다.

일부 시장 소식통들은 5월 중국의 선철과 원유 생산량이 4월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