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란티스와 합작사 설립 가시권… 부지 선정 곧 공개
바이든 "양국의 경제 성장, 에너지 안보 위해 필요한 일"
바이든 "양국의 경제 성장, 에너지 안보 위해 필요한 일"

도리어 삼성SDI의 배터리 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이 합병하면서 출범한 완성차 회사로 산하에 피아트, 크라이슬러, 푸조, 지프, 마세라티 등 14개 자동차 브랜드를 두고 있다. 생산 규모로 세계 4위를 차지한다. 지난해부턴 전기차 생산을 본격화하면서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에 도전장을 냈다.
스텔란티스는 오는 2030년까지 북미 지역 전기차 판매 40% 달성이 목표다. 이 같은 공세는 결국 삼성SDI의 생산량 확대로 이어진다. 합작사에서 만든 배터리는 스텔란티스의 미국, 캐나다, 멕시코 공장에 공급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부터 순수 전기차(EV)까지 산하 브랜드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계획으로 알려졌다. 다만 양산 시점으로 밝힌 2025년 전까지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꼽혔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는 지난해 10월 미국에 연산 23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반년이 지나도록 진전된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투자 규모, 합작법인의 사명도 알려지지 않았다. 지난 3월에 열린 삼성SDI 정기주주총회에서 취재진과 만난 최윤호 사장이 "현재 부지 선정을 어느 정도 마친 상태로 조만간 공개할 전망"이라고 밝힌 게 전부였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삼성의 대미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업계 일각에선 "합작사 설립 세부 내용이 모두 확정돼 언급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내놨다. 뿐만 아니다. 향후 공급망 불안 이슈에서 대중(對中) 연합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양국 산업계의 공통 화두를 재확인했다는데 기대가 모아졌다.
실제 한미의 동맹은 견고해지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내수시장 장악과 함께 세계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견제와 한국의 대응이 닮았다. 앞서 우리 정부는 미국이 주도하는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중국의 경제 영토 확장을 견제하는 경제협의체로, 중국의 반발이 예상되지만 "빠지면 국익에 피해가 많다"고 윤석열 대통령은 말했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