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정부 틱톡 금지 행보에 국민 대다수도 "찬성”

공유
0

[초점] 美 정부 틱톡 금지 행보에 국민 대다수도 "찬성”

美 정부·의회 틱톡 규제 움직임에 손 들어줘…젊은 층은 금지 반대 여론 커



정부 차원의 틱톡 서비스 규제에 대한 미국민의 여론. 사진=CBS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정부 차원의 틱톡 서비스 규제에 대한 미국민의 여론. 사진=CBS뉴스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튜브의 아성을 위협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중국계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 안보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 행정부와 의회가 한목소리로 미국 내 서비스 금지를 추진하고 나서면서 틱톡이 창업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가운데 23일(이하 현지 시간) 미 하원에서 열린 청문회에 출석한 저우서우쯔 틱톡 최고경영자(CEO)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돌파할지에 비상한 관심이 쏠렸으나 그가 이날 내놓은 설명은 틱톡이 중국 공산당 정부의 스파이 역할을 하고 있다는 미국 정치권의 의심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틱톡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미국 국민은 미국 정부와 의회 차원의 규제 움직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23일(이하 현지 시간) CBS뉴스가 미국 유력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이 문제에 대한 여론조사를 벌여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에서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문제를 놓고 전국적인 규모의 여론조사가 실시된 것 역시 처음이다.

그 결과 대다수가 틱톡을 금지하는 방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틱톡 서비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젋은 층에서는 이에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 미국민 61% “틱톡 서비스 금지 찬성”


CBS뉴스의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조사업체 유거브에 의뢰해 미국 성인 2117명을 대상으로 지난 20일부터 사흘간 이뤄졌다. 성별, 연령, 인종, 학력 등을 고루 안배해 실시됐다.

미국 정부와 의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틱톡이 확보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들어 미국의 국가 안보를 해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56%는 “그렇다”고 밝혔고, “그렇지 않다”고 본 응답자는 2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부와 의회의 입장에 동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셈이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를 차단하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1%는 찬성 의견을 피력한 반면, 반대 의견을 보인 응답자는 3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민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방안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셈이다.

◇ Z세대는 부정적…40% “틱톡 서비스 금지에 반대”


세대별로 갈리는 틱톡 금지 여론. 사진=CBS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세대별로 갈리는 틱톡 금지 여론. 사진=CBS뉴스


그럼에도 향후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틱톡이 유튜브를 맹추격하게 만든 주역인 Z세대로 대변되는 젊은 층에서는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방안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CBS뉴스는 “Z세대로 분류되는 18~29세 사이의 젊은 층에서는 틱톡 서비스 금지에 찬성하는 의견이 3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30~44세 응답자에서 55%의 찬성 의견이 나오고, 45~64세 응답자에서 65%의 지지 의견이 나온 것과 대조적인 결과로 틱톡을 즐겨 쓰는 층에서는 틱톡 규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강하다는 뜻이다.

◇ 여야 없이 규제 목소리 큰 것으로 나타나


정부 차원에서 틱톡을 규제하는 방안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 지지 응답자들의 의견. 사진=CBS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정부 차원에서 틱톡을 규제하는 방안에 대한 민주당과 공화당 지지 응답자들의 의견. 사진=CBS뉴스


CBS뉴스에 따르면 젊은 층의 반대 여론은 강하지만 전체적인 여론은 미국 정부와 의회의 행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틱톡에 대한 미국 정부와 의원의 공세는 더 강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CBS뉴스는 특히 “집권당인 민주당과 야당인 공화당의 의견 차이는 늘 있어 왔는데 이 문제에 관해서만은 양당 간 입장 차이가 이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정부 차원에서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함부로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결과 민주당 성향의 응답자 가운데 55%, 공화당 성향의 응답자 가운데 49%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나아가 민주당 성향의 응답자 가운데 37%와 공화당 성향의 응답자 가운데 39%는 “많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혀 양당 간 입장 차이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