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한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지난해 3월부터 줄곧 금리를 올리면서 긴축 통화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시장에 일관된 메시지를 보냈다. 연준은 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면서 기준 금리를 0.25% 포인트 다시 올렸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 회견에서 앞으로 금리를 ‘두어 차례 더 인상’ (a couple of more times rate hikes) 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파월 의장은 지속적인 긴축 통화 정책 유지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월가의 일부 투자자들은 연준과 파월 의장의 경고를 무시하고, 주식 매입을 강행했다. 지난해 4분기 이후 뉴욕 증시의 간판인 S&P500 지수는 15%가 올랐고, 지난해 10월 최저치와 비교하면 16%가 상승했다. 주가가 20% 이상 상승하면 ‘강세장’으로 분류된다. S&P500 지수만 보면 뉴욕 증시가 강세장 재진입을 앞두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금리를 올리기 시작해 금리를 한꺼번에 0.75% 포인트 올리는 4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뒤 지난해 12월 마지막으로 열린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속도 조절에 나섰다. 연준이 1일 금리 인상 폭을 0.25% 포인트로 낮춰 정상적인 금리 인상 코스로 회귀했다. 연준이 공세적으로 금리 인상을 계속했으나 이를 무시한 채 주식 매입에 나선 투자자가 지난해 4분기부터 현재까지 일단 승자가 됐다.
그렇지만, 뉴욕 증시에 돌발 변수가 등장했다. 올해 들어 미국 고용 시장이 초강세를 보인 충격적인 지표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 노동부는 1월 고용상황 보고서에서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51만 7000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8만 7000개를 3배 가까이 상회한 것이고, 지난해 12월 증가 폭 26만 개의 두 배에 육박한다. 실업률은 3.4%로 지난해 1월보다 0.1% 포인트 더 내려가 1969년 5월 이후 거의 5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월 고용 보고서에서 시간당 평균 임금이 전월보다 0.3%, 전년 동월보다 4.4% 각각 증가해 지난해 12월 당시의 전년 대비 4.6% 증가치보다는 오름세가 약간 둔화했다.
연준이 이에 따라 조기에 금리 인상을 멈출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게 월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연준이 금리를 5~6%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3일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지난해 말 연준이 제시한 금리 수준보다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 12월에 열린 FOMC 회의를 마치면서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치를 집계한 점도표를 통해 올해 금리가 5~5.2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이 1일 금리를 0.25% 포인트 올림에 따라 미국의 기준 금리가 4.50~4.75%가 됐다. 연준이 3월 21, 22일과 5월 2, 3일에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각각 0.25% 포인트씩 금리를 올리면 지난해 말 예고한 대로 미국의 기준 금리가 5~5.25%가 된다.
연준의 대표적 매파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최근 “연준이 긴축 정책을 지속함에 따라 미국의 기준 금리가 연말에 6%까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잇따라 발표되는 장밋빛 경제 지표로 투자자들이 불안감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작년 말 시장을 뒤덮었던 경기침체 공포가 사라진 대신에 연준이 애초 예상보다 금리 인상 폭을 추가로 더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인해 올해 급반등하던 뉴욕 증시의 기술주 랠리가 뒷걸음질쳤다. 노동부 발표가 나온 3일 나스닥 지수는 1.59% 하락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는 지난주에 0.2%가 하락했고, 올해 상승률은 2.3%를 기록했다. S&P500 지수는 올해 7.7% 올랐다. 지난 3일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3.396%에서 3.531%로 올라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크레디트스위스가 제시한 올해 말 S&P500 지수 전망치는 4050으로 지난 3일 종가 4136보다 낮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