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크라이나 동맹국들, IMF에 140억달러 규모 이상 조기 대출 촉구

공유
0

우크라이나 동맹국들, IMF에 140억달러 규모 이상 조기 대출 촉구

벨기에 브뤼셀 EU집행위원회 본부 건물 앞 펄럭이는 EU깃발.이미지 확대보기
벨기에 브뤼셀 EU집행위원회 본부 건물 앞 펄럭이는 EU깃발.
우크라이나 동맹국들은 전쟁으로 피폐해진 우크라이나 정부의 재정 보강을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 계획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IMF에 촉구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 외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IMF 대표자들은 2월 중순 바르샤바에서 우크라이나 정부 관리들을 만나 140억~160억 달러 규모의 차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 논의는 올 봄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올해 380억 달러 재정 적자를 예상하는 가운데 세계은행은 러시아 공격으로 에너지 인프라의 절반 이상이 파괴돼 우크라이나 경제 압박을 가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부족한 자금 충당을 위해 EU는 지난 12월 회원국 간 합의한 패키지에 180억 유로를 제시했다. 그러나 EU 및 우크라이나의 다른 주요 파트너국들은 국제 대출 기관들이 더 많은 지원에 나서기를 기대하고 있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 EU집행위 부위원장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회의에서 "다른 G7 국가 및 국제 금융기관 등 다른 국제 공여국들이 나머지 자금 수요를 충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IMF의 우크라이나 지원 프로그램이 "추가 공여자 지원을 촉발할 수 있는 특별한 신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 프로그램이 빨리 진행될수록 더 좋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런 종류의 대출은 IMF가 일반적으로 진행할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적절한 절차가 준비 중이라는 점만 보더라도 긍정적인 단계로 볼 수 있다.

미국은 또한 새로운 재정 지원책이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IMF를 압박해왔다. 미 재무부는 2일 "국제통화기금과 우크라이나가 프로그램에 합의하기 위해 신속하게 협력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와 같은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가의 재정 상황과 IMF 대출금 상환 능력에 대한 엄청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다년간의 원조 패키지에 대한 승인 보장 절차는 오랜 과정을 겪는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난 9월부터 IMF로부터 자금 지원을 추진해 왔지만, 전쟁 지역에 대한 자금 지원을 그동안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IMF 대출 조건 문제로 협상이 지연되어 왔다. IMF는 140억 달러에서 160억 달러 규모의 3년에서 4년간 일괄 지원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IMF는 이전에 27억 달러의 긴급 자금을 지원했고, 12월에 우크라이나 경제 지지를 위한 4개월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IMF 대변인은 "전쟁 이후 줄곧 우크라이나를 지지해 왔으며, 앞으로도 같은 입장을 견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우크라이나 당국과의 긴밀한 협력 및 소통으로 가능한 한 빨리 본격적인 프로그램이 가동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조기 대출 문제는 우크라이나 상환 불확실성을 볼 때 복잡한 과정이다. 유럽투자은행(EIB)은 2일 유럽 연합 국가들이 추가 보증서를 제공해야만 우크라이나와 같이 "위험한"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조달을 계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 대출 부문 대표 베르너 호이어는 "우크라이나 대출 건은 피가 터질 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더 많은 것을 원한다면 우리는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럽투자은행(EIB)은 지난해 3월부터 우크라이나의 도로, 트램, 학교 재건을 돕는 프로젝트에 17억 유로의 자금을 분배했으며 2023년에는 5억 3500만 유로가 추가로 지출될 예정이다.

최근 몇 주 동안 대출 보증 논의가 재개되었고, 호이어 대표는 회원국들이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매우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논의는 EU가 올해 말에 중장기 예산에 대한 긴장된 협상 개시를 앞두고 진행 중이다.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대출과 보증을 통해 올해 우크라이나에 3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고, 세계은행(World Bank)은 현재까지 160억 달러의 원조를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국제경제 수석저널리스트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