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공매도 표적'된 아다니, 극단적 레버리지 비율에 앞길 첩첩산중…포스코도 주시 중

공유
0

'공매도 표적'된 아다니, 극단적 레버리지 비율에 앞길 첩첩산중…포스코도 주시 중

인도 억만장자 고탐 아다니.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도 억만장자 고탐 아다니. 사진=로이터
아시아 최고 재벌 인도의 고탐 아다니와 아다니 그룹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미국 행동주의 펀드 힌덴버그가 주가조작 의혹을 제기한 뒤 아다니 그룹 계열사들이 연일 하한가를 기록하는 등 주가가 무섭게 빠지고 있다.

아다니 그룹은 백기사로 등장한 아람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알 나흐얀 왕가의 투자회사 '인터내셔널 홀딩 코'의 14억디르함(약 4600억원) 투자 지원을 받아 간신히 유상 증자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주가는 하락세 있는 등 상황은 어렵다. 아다니 그룹에 속한 기업들의 시총은 1일(현지 시간) 기준 740억달러(약 91조원) 증발해 아다니 그룹의 회장인 고탐 아다니는 포브스 부자 목록에서 보고서 발표 이전 3위에서 10위로 하락했으며 아시아 최고 부자 타이틀도 잃었다.
아다니 그룹은 힌덴버그 측의 주장이 악의적 공격이라고 반박하고 있지만 시장은 아다니그룹에 등을 돌렸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부분은 아다니 그룹의 윤리적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아다니 그룹이 한 회사를 활용해 다른 회사의 확장 자금을 조달하는 '부채 확장'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분명 아다니 그룹이 처음에 빚으로 시작해 항만, 광산, 철도, 인프라, 에너지, 부동산 등을 아우르는 거대한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그의 기업이 엄청난 부채를 지게 하는데도 일조했다.

아다니 그룹은 정치권과의 야합으로 높은 부채 비율에도 빠른 속도로 주가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로 아다니 그룹의 부채는 분명 주가와 비교했을 때는 비교적 높아 보이지 않지만 이익과 비교했을 때는 매우 높게 분석된다.

현재 아다니 그룹은 전통적인 지표로 볼 때 주가가 상당한 과대평가를 받고 있다고 평가된다. 힌덴버그 그룹은 아다니 그룹의 주가가 85%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오클랜드에 본사를 둔 페러스코프 아날리스틱의 설립자 브라이언 프레이타스는 "문제는 아다니 그룹의 기본 비즈니스가 현재 있는 부채를 상환할 수 있을 만큼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지 여부다"라고 설명했다.

아다니 그룹은 힌덴버그의 주장에도 부채비율을 낮추는 디레버리징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재 아다니 그룹의 계획된 성장 전망에 따르면 앞으로 아다니 그룹은 수십만 달러의 부채를 추가로 대출할 예정이다.
아다니 그룹의 중심 기업인 아다니 엔터프라이즈는 2022년 3월 마감된 회계연도 기준 에비타(EBITDA, 상각전 영업이익) 대비 순 부채 비율이 10배에 달한다. 이는 이미 매우 높은 비율이지만 아다니 그룹은 올해와 내년 자본 지출을 50억달러 늘릴 계획이라 부채는 증가할 전망이다.

아다니 그룹은 이러한 부채 비율을 완화하고 회사에 자본을 공급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눈을 돌렸다. 아다니 그룹은 토탈에너지에 70억달러, 아랍에미리트의 인터네셔날 홀딩스에 20억달러를 조달받았다. 이후에도 아다니 그룹은 7억5000만달러의 그린본드를 모금했고 다양한 은행 및 국제 대출 기관에서도 돈을 빌렸다.

브로커에이지 CLSA는 아다니그룹에 상장된 5대 기업들의 부채가 2019년 이후 두 배로 증가해 총 260억달러(약 31조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다니 그룹이 계획한 자본 지출 계획에 의문을 갖고 있다. 분석가인 니틴 망갈은 "아다니그룹은 많은 야심 찬 성장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본 지출 계획에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계속 모멘텀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 포스코도 아다니그룹 공매도 사태를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아다니 그룹과 친환경제철소 합작 사업을 추진하기로 약속한 상태다. 포스코는 지난해 아다니 그룹과 최대 50억 달러의 잠재적 투자를 모색하기 위한 구속력 없는 협약(MOU)를 맺었다.

이 계약은 두 기업이 재생 에너지, 수소 및 물류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코에게는 인도에서 증가하는 고급 철강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수출통로 마련 기회가 될 수 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