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인도, 90년대부터 밀어붙인 '경제개방 드라이브' 성과 가시화

공유
0

[초점] 인도, 90년대부터 밀어붙인 '경제개방 드라이브' 성과 가시화

전세계 실질 GDP 증가율 대비 인도의 실질 GDP 증가율 추이. 사진=S&P이미지 확대보기
전세계 실질 GDP 증가율 대비 인도의 실질 GDP 증가율 추이. 사진=S&P

빠른 속도로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인도가 오는 2030년께 현재 세계 3위 경제대국인 일본을 따라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최근 나왔다.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세계 최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근 내놓은 예상이다.

그러나 향후 전망 못지않게 그 배경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어떤 배경이 작용했기에 인도는 일본 경제까지 제칠 수 있을 정도로 빠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것일가.

무엇보다 인도가 지난 1991년부터 경제 개방화에 팔을 걷어붙인 결과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S&P, 모건스탠리 “2030년께 인도 경제, 일본 추월 가능성”


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S&P와 다우존스 등 4개 금융 서비스 기업을 계열사로 둔 S&P 글로벌은 최근 펴낸 ‘인도 경제성장 전망’ 보고서에서 현재 세계 3위와 4위 경제강국인 일본과 독일을 제치고 오는 2030년께 세계 3위의 경제강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S&P가 그 근거로 제시한 것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실질 GDP는 지난해부터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6.3%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실제로 인도의 지난 3분기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S&P 보고서는 특히 인도의 1인당 국민소득(PCI)이 5.3%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예측했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주요 20개국 가운데 인도처럼 PCI가 5.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는 현재로서는 없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PCI는 특정 연도, 특정 지역의 1인당 평균 소득을 나타내는 거시경제 지표다.

◇S&P “1990년대 이후 이어진 경제 개방화 정책의 결과”

S&P는 “인도가 무역 및 금융시장 개방화, 인프라 및 인재와 관련한 투자의 대대적인 확대, 노동시장 개혁을 경제의 틀을 구조적으로 개선하는 정책을 199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S&P는 특히 “인도가 해외 투자자들에 문호를 적극 개방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이지만 인도 정부의 경제 발전 계획은 여기서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경쟁력 있는 인도 대기업을 적극 지원해 인도를 상징하는 ‘국민 기업군’으로 육성시키겠다는 야심찬 구상이 인도의 경제 발전을 앞으로도 더욱 추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보고서는 “인도의 몇몇 주요 재벌기업들을 세계의 공장으로 통하는 중국의 거대 기업은 물론 유럽, 일본, 한국, 미국의 주요 글로벌 대기업에 맞설 수 있는 국민 기업으로 끌어올리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인도에 투자하려는 해외 투자자들을 이들 인도 대기업들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인도 재벌기업의 경쟁력을 한단계 높이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

◇인도, ‘PLIS’ 발판으로 ‘수출주도 국가‧제2의 세계의 공장’ 변신 시도


S&P는 특히 인도가 여러 산업 가운데서도 방위산업, 반도체산업, 재생에너지산업 분야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인도는 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인도 자체가 세계에서 3번째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나라인데다 오는 2030년까지 국가 전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재생 에너지 용량을 500GW 수준으로 늘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확대 계획을 추진 중이어서 이목을 끌고 있다.

S&P는 특히 인도 정부가 지난 2020년 추진하기 시작한 ‘생산연계인센티브계획(PLIS)’을 주목하면서 “인도 정부는 PLIS를 수단으로 삼아 인도 경제를 수출중심 경제로 전환하고 중국에 이은 ‘세계의 공장’으로서 위상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PLIS는 인도 기업과 인도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 모두에 세제 혜택과 인허가 등에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