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이폰 생산 95% 중국 의존' 애플, 공급망 충격에 '취약'

공유
0

'아이폰 생산 95% 중국 의존' 애플, 공급망 충격에 '취약'

중국 상하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발생 이후 애플 매장 밖에서 한 남자가 통화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상하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발생 이후 애플 매장 밖에서 한 남자가 통화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으로 돈 잘 버는 테크 기업은 알리바바나 텐센트와 같은 국내 인터넷 대기업이 아니라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애플이다.

애플의 중국 사업은 코로나 기간에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현재 중국의 가장 큰 두 기술기업의 수입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시장 정보 기업인 카운터포인트(Counterpoint)에 따르면 아이폰 생산의 95%를 책임지고 있는 애플의 제조 기반으로서 중국에 대한 의존은 공급망 충격에 회사를 취약하게 만든다.

애플은 지난 6일(일) 자사의 주요 조립업체인 폭스콘이 운영하는 중국 공장에서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최신 첨단 아이폰의 글로벌 출하가 지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달러 강세와 공급 제약의 영향으로 수익 증가에 '중대한' 역풍을 경고한 지 일주일 만에 나온 발표다.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애플 세일즈는 크게 번창했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홍콩, 마카오, 대만, 중국 본토를 포함한 중국의 영업이익은 지난 9월 말 회계연도 결산 312억 달러로 24개월 동안 104% 급증해 텐센트가 벌어들인 152억 달러와 알리바바가 벌어들인 135억 달러를 앞질렀다.

애플은 중국과의 거래를 강조하며 애플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자국산 기술 그룹에 대한 탄압을 피하고, 중국의 유일한 진짜 경쟁자인 화웨이에 피해를 입힌 미국의 제재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중국 시 주석과 중국 기술관료들과의 만남 등 대유행 이전부터 정기적으로 베이징을 방문하는 등 팀 쿡 최고경영자의 기업 외교가 다른 서방 기술기업이 겪게 되는 운명을 피한 결과다. 알파벳, 메타, 넷플릭스는 중국에서 거의 쫓겨나다시피 했다.

여기에 비판론자들은 애플이 중국 제조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때문에 권위주의적 요구에 너무 쉽게 굴복하게 됐다고 주장한다. 중국과의 거래는 애플이 세계에서 가장 큰 소비시장에서 선도적인 명품 브랜드가 되는 동시에 중국 내 값싼 노동력과 공장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베이징에는 양방향 거리라는 것이 분명 존재한다. 중국은 애플로부터 많은 일자리와 명성을 얻었다"며 'The One Device, 아이폰의 비밀 역사'의 저자인 브라이언 머천트(Brian Merchant)는 "임금 면이나 기술표준상 애플과 계약하는 회사들에게 더 낫다. 그리고 중산층으로 올라설 수 있는 임금 상승에도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2019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화웨이가 애플을 제치고 삼성에 이어 2위를 차지했으며, 빠른 성장은 2020년 3월까지 화웨이와 하위 브랜드 아너(Honor)가 합쳐 4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면서 중국 시장을 주도했다고 카운터포인트는 전했다.

카운터포인트의 분석가인 아치 장(Archie Zhang)은 "마치 '국가 공장'같이 중국 시민들은 자신들의 애국심을 보여주고 싶어 했고, 화웨이 스마트폰을 사기 위해 나섰다"고 말했다.

분석그룹 M사이언스에 따르면 화웨이는 2019년 8월 5G 지원 스마트폰으로 초반 주도권을 잡았고 2020년 6월까지 차세대 기기의 중국 판매량을 월 700만 대 이상으로 늘렸다.

애플의 첫 5G 장착 단말기인 아이폰12 시리즈는 2020년 10월에야 출시됐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

그 제재는 5G 칩셋 등 핵심 기술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고, 그 칩은 결국 못 쓰게 되었다. 화웨이는 2020년 하반기 중국 시장 점유율이 무너졌고, 제재를 피하기 위해 아너(Honor) 분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S&P GMI에 따르면 2021년 화웨이의 소비자 사업 매출은 383억 달러로 절반으로 줄었다.

중국 시장 내 화웨이의 점유율이 2020년 중반 최고치인 29%에서 2년 뒤 불과 7%로 급락하자 애플의 점유율은 9%에서 17%로 급상승했다고 카운터포인트는 전했다. 사실상 미국 애플 그룹의 모든 매출은 프리미엄 부문에서 3년 만에 지배력이 51%에서 72%로 증가했다.

장 사장은 "오늘날 애플은 600달러 이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며 "1000달러짜리 스마트폰을 살 거면 다른 제품은 없다"라고 말했다.

애플은 중국 고객들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했다. 애플 중국 사업부의 한 관계자는 국내 경쟁사들이 더 큰 화면, 저조도 사진, 듀얼 SIM 카드 슬롯을 갖춘 스마트폰을 출시했을 당시 애플에 그 사양을 따르도록 압박한 것은 바로 애플 중국 직원들이었다고 말했다.

쿡은 나이트 모드, QR코드 리더 등 "다양한 기능"을 중국 고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쿡은 한 소셜미디어 인터뷰에서 22세 중국 학생에게 "중국이 5G 커버리지 모델에서 훨씬 앞서 있기 때문에 많은 면에서 5G조차 중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다"며 "그래서 중국 고객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다"고 말했다.

애플이 폭스콘의 주요 아이폰 설비가 애플 신제품 판매 성수기에 "가동률이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하는 등 제조 기반이 한 지역에 지나치게 집중돼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그러나 수년 동안 중국 편에 서서 큰 투자를 약속하고 민감한 주제에 대해 침묵하는 등 애플의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었다.

중국 사용자 데이터의 저장소를 구이저우성 정부가 소유한 데이터센터로 옮기는 것을 묵인했고, 베이징 검열관의 요청에 따라 현지 앱스토어에서 수천 개의 앱을 제거했다.

왓츠앱, 시그널, 텔레그램과 같은 암호화된 메시징 플랫폼이 금지되는 동안 수십 개의 뉴스 매체 앱이 제거되었다. 이에 대해 언급을 거부한 애플은 해당 국가의 법률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바일 개인정보 보호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가디언 프로젝트의 네이선 프리타스 이사는 "애플이 고객 경험에 대해 통제되고 봉쇄된 생태계에 대한 비전은 공산당이 중국에서 바라는 것과 동일한 비전과 통제를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명예기자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