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세계 전염병이 최근 급증한 듯 보이는 이유

공유
0

[초점] 세계 전염병이 최근 급증한 듯 보이는 이유

모더나의 코로나 백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모더나의 코로나 백신. 사진=로이터
전문가들이 최근 코로나, 원숭이 두창, 소아마비 등 인류 전염병이 급증한 듯 보이는 이유에 대해 밝혔다.

2022년은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급증하는 해였다. 코로나를 제외하고서도 연초에는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이유불명의 어린이 간부전이 일어났으며 그 다음에는 원숭이 수두가 유행했다. 플로리다에서는 신생아들이 파레코바이러스에 감염됐고 뉴욕시에서는 폐수에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의사들과 과학자들은 최근 전 세계에 전염병이 급증하는 다중적인 원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변화


전문가들은 실제로 전염병 증가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기후변화라고 답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인간과 동물이 자신의 원래 서식지에서 쫓겨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일이 점점 빈번해져 인간과 동물이 원래 있던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접촉할 위험이 늘었기 때문이다.

천연두 박멸을 주도한 닥터 래리 브릴리언트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가 무너졌다"고 답했다.

세계보건기구(WTO)는 2014년에 "새로 출현하는 병원체의 75%가 동물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했으며 이 수치는 최근 몇년간 더 증가하고 가속화되고 있다.

코비드, 에볼라, HIV, 메르스, 사스, 인플루엔자, 원숭이 두창 모두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환된 질병들이다. 질병이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환되면 항상 새롭게 변이될 확률이 존재한다.

기후변화, 살림벌채, 가축화, 불법 야생동물 밀렵 등 그 모든 일들이 바이러스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8월 네이처에 게시된 한 연구는 지구상 대부분의 인간 병원체가 기후 위기에 의해 악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는 이미 기후위기는 질병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가뭄이나 식수, 식량부족으로 야생 동물이 인간 주거지역으로 침입할 가능성을 높아지고 곤충들의 서식지 이전으로 새로운 곤충군과 인간의 접촉이 늘어난다. 폭풍, 폭우 등은 하수처리시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가뭄과 폭우는 인간과 동물의 면역 체계를 저하시켜 질병 발병의 위협을 높인다.

연구는 아시아가 고향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이제 지중해 권에 확산돼 치쿤구냐 바이러스와 뎅기열 바이러스를 퍼트리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 대학의 연구원들은 2050년까지 지카 바이러스 확산 지역에 13억 이상의 사람이 거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로벌 여행


글로벌 항공 여행 증가도 전염병 확산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생활의 글로벌한 사회적 특성은 효율적으로 사람들 사이에 질병을 퍼트리고 있다. 전 세계의 모든 전염병은 단 한 번의 비행으로 퍼질 수 있게되었다.

2022년에도 원숭이 수두와 소아마비가 비행기를 타고 사람들을 감염시켰다. 반대로 2020년 코로나로 전 세계 여행이 중단됐을 때 독감은 1년간 매우 낮은 발생빈도와 변이를 가졌다.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 변화


코로나는 질병과 전염병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사람들은 전염병 소식에 이전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의심에도 더 많은 검사를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이전에는 인지하지 못했던 전염병 발병을 찾아내고 있다.

코로나 휴유증


아직 코로나에 대한 노출이 인간의 면역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실히 발표한 연구결과는 없다. 코로나 환자들 일부는 코로나 완치 후 여러 휴유증이 있다고 증상을 밝히지만 아직 코로나는 완전히 연구된 병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이 인간의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이 앞으로 몇 년 안에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코로나가 완치된 환자의 면역체계가 약화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과 의사들은 또 "앞으로 더 많은 전염병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세상이 상호 연관되고 연결됨에 따라 발생 확률은 늘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중보건에 대한 더 많은 투자, 깨끗한 식수, 백신, 개발도상국에 대한 의료 지원 등과 같은 조치가 전염병 확대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대부분의 국가가 아마 이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