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특파원 시선] 41년만의 최고 물가 폭등…바이든·민주당 11월 중간선거 '참패' 예고

공유
0

[특파원 시선] 41년만의 최고 물가 폭등…바이든·민주당 11월 중간선거 '참패' 예고

살림살이 팍팍해진 유권자, 대통령과 여당에 책임 물을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년 만에 최고치인 8.5%로 치솟자 백악관과 민주당에 비상이 걸렸다. 오는 11월 하원의원 전원과 상원의원 3분의 1을 새로 뽑는 중간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참패할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의 유권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여전히 경제 문제이다. 유권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면 현직 대통령과 여당에 그 책임을 묻기 마련이다.

백악관은 인플레이션 급등의 책임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탓으로 돌리고 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가 3월 CPI가 좋지 않으리라고 예상하고 있었다”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물가 폭등의 주범”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등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했고, 이같은 서방의 제재가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게 사키 대변인의 설명이다.
크리스 실리자 CNN 해설위원은 “백악관의 주장이 맞는다고 해도 유권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유권자들은 휘발윳값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면 그 책임자를 찾아내 징벌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대통령이 급등하는 물가를 잡기가 쉽지 않고,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물가가 오를 때 이를 통제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렇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무리 고물가 사태의 책임을 회피하려고 해도 유권자들이 그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폭등하고 있지만, 주요 경제 지표가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미국의 3월 실업률은 3.6%로 나타났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직전에 50년 만에 최저치였던 3.5%에 0.1%포인트 차이로 근접한 것이다. 미 노동부 발표한 3월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올 3월에 비농업 일자리가 43만 1,000개 증가했다. 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고용 회복의 척도로 주목하는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62.4%로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20년 2월 수준에 1%포인트 차로 접근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경제의 밝은 면을 보여주려고 하지만, 유권자는 어두운 면을 본다. 이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이 유권자들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CBS 방송이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미국의 성인 2,062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바이든 대통령 업무 수행 지지율은 43%를 기록했다. 이는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이 방송이 실시한 조사에서 최저치 기록이다.

특히 응답자의 31%만이 바이든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정책을 지지했다. 최근 ABC방송과 입소스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29%만이 바이든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정책을 지지했다. 응답자들이 유가 상승의 원인으로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71%)과 석유회사(68%)를 꼽았으나 민주당과 바이든 대통령 잘못이라는 응답 비율도 50%를 넘었다.

미국 공화당은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에 고물가 사태의 책임을 돌리며 파상 공세를 편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현재의 고물가 사태를 ‘바이든 인플레이션 위기’라고 부른다. 케빈 매카시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인플레이션 폭주로 미국의 가정과 경제가 붕괴하고 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 정부에서 물가가 40여 년 만에 최고로 올라 봉급과 저축을 다 빨아들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물가를 잡기 위해 서둘러 금리를 올리고,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이는 긴축 통화 정책을 동원할 계획이다. 문제는 연준의 물가 통제 정책이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진입하거나 그 직전에 중간선거가 실시되면 민주당이 참패하고, 바이든 대통령은 여소야대 정국 구도 속에서 국정의 동력을 상실하는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