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5일(현지시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건강·노화연구실의 다이애나 쿠 박사가 분석한 결과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분석 대상은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Medcial Research Council)가 1946년부터 남녀 18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온 조사자료다.
다이애나 쿠 박사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들은 60∼64세에 이르면 '건강한 노화'에 없어서는 안 되는 호르몬들의 균형이 크게 무너졌다. 연간소득이 6000파운드(약 1045만원) 이하로 가장 낮은 남성은 3만 파운드(약 5200만원) 이상인 남성에 비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1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토스테론 부족은 체중증가, 근육감소, 골다공증, 우울증과 연관이 있다.
여성이 테스토스테론이 지나치게 많으면 사춘기가 일찍 오고 불임과 다낭성 난소증후군 위험이 높아진다.
쿠 박사에 따르면 교육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들은 남녀 모두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 insulin-like growth factor)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수치가 낮았다. 코티솔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 부정맥의 원인인 심계항진, 우울증, 불면증,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 불행한 일, 질병 그리고 운동부족, 영양부족, 흡연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끼친다.
노정용 기자 n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