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사조직' 논란 속 인선안 의결, 최재형 선봉
공천 개혁 방향에 이준석-친윤계 입장차 커질 듯
공천 개혁 방향에 이준석-친윤계 입장차 커질 듯

당 지도부의 동의를 얻어 닻을 올렸지만 성과는 미지수다. 이른바 '이준석 사조직'이라는 비판이 여전한데다 대표 의제로 내세운 공천 개혁이 당내 분란 가능성을 키웠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당 개혁 이슈 선점으로 당내 호평을 이끌어낸 처음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여기에 이 대표가 성상납 무마를 위한 증거인멸교사 의혹을 받고 있는 만큼 혁신위가 동력을 잃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만큼 최 의원의 각오는 남달랐다. 그는 혁신위 출범에 대해 지난 대선·지방선거 승리에 안주하지 않고 '다가오는 총선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위한' 선제 조치라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이날 발표된 인선안이 '최고위원 추천을 포함해 당내 사정과 당 개혁 가치를 잘 알고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최고위원 몫 혁신위원은 △김미애 의원(초선) △서정숙 의원(초선) △한무경 의원(초선) △천하람 전남순천갑 당협위원장 △김민수 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을 당협위원장 △김종혁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 △이건규 전 서귀포군호텔 사장이 추천됐다. 위원장 몫 혁신위원은 조 의원을 포함해 △노용호 의원(초선) △이옥남 시장경제와민주주의연구소장 △정회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치개혁위원회 위원 △채명성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 △구혁모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 △곽향기 서울시의원이 발탁됐다.
이 대표도 공천 개혁의 필요성을 거듭 주장하고 있다. 그는 이날 최고위에서 "앞으로 저희가 의회에서도 다수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기초를 닦는 역할을 충실이 했으면 한다"며 혁신위에 당부의 메시지를 남겼다. 총선 승리를 위해선 공천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윤석열 대통령을 중심으로 당이 빨리 리모델링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친윤계 입장으로선 다소 불편한 얘기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