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협치 앞세워 "국회 거수기 아냐" 尹에 경고장
야당 몫 부의장에 김영주 선출… 헌정사상 두 번째
야당 몫 부의장에 김영주 선출… 헌정사상 두 번째

윤석열 정부에 대한 견제 방침도 분명하게 밝혔다. '삼권분립 민주주의 원칙이 확실하게 작동되는 국회', '의원 한분 한분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국회', '국민 눈높이에서 바라볼 때 많은 성과를 내는 민생 국회'가 김 의원이 제시한 청사진이다. 그는 "국회를 거수기로 생각해서는 협치가 제대로 안 된다"면서 "국회의 권위를 지키고, 입법부의 수장으로서 할말은 하는 의장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경제 관료 출신이다.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한데 이어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교육부총리를 지냈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정과제를 설계했다. 계파색은 뚜렷하지 않다. 때문에 당 안팎에선 일찌감치 김 의원의 의장 선출을 예상했다.
앞서 의장 선출을 위한 경선은 4파전으로 치러졌다. 5선의 이상민·조정식 의원과 4선의 우상호 의원까지 레이스에 합류해 판이 커졌다. 원내 1당의 최다선·최연장자를 추대해온 기존의 관례를 깬 것이다. 하지만 김 의원이 선출되면서 결과적으로 관례를 이어가게 됐다. 김 의원은 21대 총선에서 5선을 달성했다. 올해 75세로 당내 최연장자인 만큼 온화한 성품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후반기 국회 출범 전 의장단 선출 가능성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둘러싼 여야의 의견 대립으로 원 구성 협상에도 진척이 없기 때문. 민주당은 오는 29일 박병석 의장의 임기가 종료되는 만큼 26일 본회의를 열어 의장단 선출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법사위원장 양보 없이는 의장단 선출에 협조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결국 6·1 지방선거 이후로 의장단 선출이 미뤄질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