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시장 대응 능력 어느 때보다 강해…리스크 선제대응"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시장 대응 능력 어느 때보다 강해…리스크 선제대응"

이미지 확대보기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7일 "정부는 어느 때보다 강한 시장 대응 능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와 관련, 이같이 밝혔다.

이 차관은 "이번 FOMC 결과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다소 확대됨에 따라 우리 금융시장도 일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우리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냉철하고 차분하게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차관은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올해 5월 기준 4564억6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이며,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환매조건부 방식 외화유동성 공급망 구축 등 새로운 시장 안정 수단을 확충했을 뿐 아니라 한미 통화스와프도 연장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사시 우리 정부의 대응 여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1∼10일 수출이 40% 이상의 증가세를 이어가는 등 실물 경제의 회복세가 견고하고,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인도 지표인 CDS 프리미엄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실제 통화정책 기조가 전환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파급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는 만큼 앞으로도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6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0~0.25%로 동결했다.

연준은 별도로 내놓은 점도표(dot plot)에서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보다 인상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