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복리이자 계산 헷갈려"…한국인 금융이해력 점수 66.5점

공유
0

"복리이자 계산 헷갈려"…한국인 금융이해력 점수 66.5점

'2022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발표
2020년 조사보다 1.4점 상승
고령층·저학력층 상승폭 상대적으로 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지=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지=연합뉴스
국내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이전 조사보다 소폭 상승했다. 또 70대 이상 고령층과 고졸 미만의 저학력층의 점수 상승폭이 커지면서 계층별 격차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2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만 18~79세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6.5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20년 65.1점보다 1.4점 상승한 것으로 2020년 조사 값은 당초 66.8점이었으나 지난해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경제·금융교육에 관한 글로벌 협력기구(INFE)의 점수산출 방법 변경으로 재산출됐다.
연령별 점수를 보면 30대가 69.0점으로 가장 높았고 40대(68.9점), 50대(67.0점), 20대 (65.8점), 60대(64.4점), 70대(61.1점) 순이었다.

70대 금융이해력 점수는 2년 전 조사 대비 6.4점 상승하면서 전 연령층에 통틀어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하지만 가장 이해력이 높은 30대(69점)와의 점수차는 7.9점으로 여전히 격차가 컸다.

소득별 점수는 연소득 기준 7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이 68.7점, 3000만~7000만원의 중소득층이 68.0점, 30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이 63.2점으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점수차는 5.5점으로 조사되면서 2020년(5.1점) 보다 격차가 오히려 확대돴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68.7점, 고졸 65.4점, 고졸 미만 59.3점으로 대졸 이상과 고졸 미만 간 점수차가 9.4점에 달했다. 하지만 2년 전 조사보다 고졸 미만의 점수가 전 학령층 통틀어 가장 큰 폭인 2.8점 상승하면서 학력간 격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이해력 점수는 금융지식과 금융행위, 금융태도 점수를 종합해 최종 계산된다. 지난해 기준 국내 금융소비자의 금융지식 점수는 75.5점, 금융행위와 금융태도 점수는 각각 65.8점, 52.4점이다. 이는 2년 전 조사 보다 각 2.3점, 0.3점, 2.3점 오른 수치다.

금융지식은 소비자가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를 비교하고 적절한 정보를 토대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지식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의 의미,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이자개념의 이해, 단리와 복리 계산, 위험과 수익 관계, 분산투자 개념 등을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이자개념의 이해(93.8점), 위험과 수익 관계(88.2점), 인플레이션의 의미(80.8점) 등에 대한 이해는 높았지만 복리 계산(41.4점)은 매우 낮았다.
재무계획과 예산관리, 정보에 입각한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 관련 소비자 행위를 의미하는 금융행위에서는 저축활동(97.8점)은 적극적인 반면, 재무상황 점검(55.7점), 장기 재무목표 설정(48점) 등 재무관리 활동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 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로 저축이나 미래를 선호할 수록 점수가 오르는 경향이 있는 금융태도 항목은 50점을 소폭 상회해 현재의 소비를 다소 희생하더라도 미래에 대비하려는 태도가 미세하게나마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최근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디지털 금융이해력 조사가 추가로 실시됐다. 지난해 기준 국내 성인의 디지털 금융이해력 점수는 42.9점으로 일반 금융이해력 점수(66.5점)를 크게 밑돌았다. 특히 70대(36.0점), 저소득층(39.4점), 고졸 미만(35.9점)의 이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