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자부담 커지자 은행 대출 연체율 급증

공유
0

이자부담 커지자 은행 대출 연체율 급증

지난해 12월 기준 상승세
올해 부실 규모 40조 추정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상담 창구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출금리의 급격한 상승으로 시중은행 주요 대출 상품의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어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기준 가계·기업대출 연체율 평균은 3개월 전보다 모두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중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5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달 0.28%로 9월 말(0.23%)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 평균은 같은 기간 0.01%에서 0.02%로 0.01%포인트 올랐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말 0.18%에서 0.24%로 0.06%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도 기업대출 보다는 작지만 연체율 상승을 피하지 못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0.16%에서 12월 0.19%로 0.03%포인트 올랐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은 같은 기간 0.12%에서 0.15%로 0.03%포인트, 신용대출은 0.24%에서 0.28%로 0.04%포인트 씩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간 연체율 변화 추이를 살피면 가계와 기업 모두 상반기에는 연체율에 큰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상승세로 전환 후 연말로 접어들수록 상승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아직 연체율 수준 자체는 낮지만 상승세는 뚜렷한 셈이다. 실제, 지난해 6월 0.15%였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9월 0.18%로 반등 후 12월 0.24%까지 올랐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역시 1월 0.23%, 3월 0.22%, 6월 0.20%로 하락한 뒤 9월 0.23%, 12월 0.28%로 상승했다. 가계 주담대 연체율은 1월 0.10%, 3월 0.10%, 6월 0.10%, 9월 0.12%, 12월 0.15%였고, 신용대출 연체율은 1월 0.25%, 3월 0.22%, 6월 0.24%, 9월 0.24%, 12월 0.28%를 기록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보통 은행은 분기 말과 부실 채권 매각시 연체율이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개인사업자 등을 중심으로 연말 연체율이 연초보다 많이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올해 초 한국은행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만큼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역대 최저수준인 0.50%까지 낮췄던 기준금리를 2021년 8월 0.25%포인트 올린 것을 시작으로 올 1월까지 10차례 인상했다. 기준금리는 현재 3.50%까지 높아졌다.

아울러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면서 가계와 기업의 소비·투자가 과도하게 위축될 우려도 있다.

한국 경제의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0.4%로, 2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올해 1분기 역시 마이너스 성장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연간으로는 한은이 제시한 1.7% 성장률 달성도 불투명하다.

한은은 지난해 말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향후 대출금리 상승세가 이어지고 매출 회복세 둔화, 금융지원정책 효과 소멸 등이 겹치면 자영업자대출에서 부실 위험 규모가 올해 말 40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