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크라이나 전장, 검증되지 않은 최첨단 전쟁기술 시험장

공유
3

우크라이나 전장, 검증되지 않은 최첨단 전쟁기술 시험장

킬러·정찰 로봇·AI·자폭 드론 등 독특한 최신 무기 등장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혹독한 포격과 탱크 전투가 더러운 참호에서 벌어진다. 이런 배경에서 초현대식 무기가 전면에 등장해 인간과 컴퓨터 솔루션 사이의 경계가 더욱 얇아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터에서 킬러 및 정찰 로봇, 인공지능(AI) 및 자폭 드론 등이 포착되고 있으며 이들은 현 세대의 무기보다 훨씬 뛰어난 자율 기계이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전례 없는 규모로 AI 드론이 전장에 배치됐다. 러시아는 칼라시니코프 그룹(Kalashnikov)의 BPLA '컵(Kub)'과 '란셋(Lancet)' 드론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는 자율 비행 기능과 레이저 유도 '스마트' 탄약을 갖춘 튀르키예의 바이락타르 TB2(Bayraktar TB2)에 의존하고 있다. 또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GPS 추적 및 목표물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자폭 드론 '스위치블레이드(Switchblade) 및 피닉스 고스트(Phoenix Ghost)' 700대를 보내기로 약속했다.

최근 '킬러 로봇'이라는 별명을 가진 무인 로봇이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 현 세대의 무기보다 월등히 뛰어나며 전쟁에 대한 현대적 사고를 뒤집을 수 있는 신무기들이다.

로봇은 11월 말 독일에서 도착했다. 독일은 키예프에 대한 군사 지원의 일환으로 지원 임무를 위해 14대의 추적 및 원격제어 보병 차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무인 로봇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에서 주로 지뢰 제거에 사용된 유사 로봇보다 훨씬 뛰어난 기술을 자랑한다.

무인 추적 하이브리드 모듈식 보병 시스템(THeMIS) 제조업체인 에스토니아의 군사 계약자 밀렘 로보틱스(Milrem Robotics)도 우크라이나에 자율 차량을 공급할 예정이지만 주로 사상자 후송용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첨단이지만 검증되지 않은 기술의 시험장이 되고 있다.
밀렘 로보틱스의 CEO 쿨다르 배르시(Kuldar Väjärsi)는 THeMIS에 기관총과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탱크보다 훨씬 저렴하며 향후 몇 년 동안 전장에서 흔해질 것이다.

배르시는 “어떤 신기술이든, 특히 이전에 없던 기술이 그렇듯 개념 개발과 다양한 실험이 필요하다. 많은 수의 장비를 배치하기 전에 기술이 전투 규범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유럽 ​​군사 조달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독일 국방부는 오직 생명을 구하기 위해 설계된 "평화로운" 버전의 THeMIS에만 투자했다. 독일 국방부 대변인은 안보 문제를 이유로 논평을 거부했다.

우크라이나에서 킬러 로봇이 등장한 후 일부 전문가들은 입증된 무기를 배달하는 대신 효과보다 더 특이한 무기를 전장으로 보낼 것이라고 경고하기 시작했다.

브뤼셀 경영대학원이자 리얼 엘카노 연구소(Real Elcano Institute)의 연구원인 다니엘 피오트(Daniel Fiott)는 "미래의 전쟁에서 새롭고 파괴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해도, 첨단 기술 솔루션의 매력은 우크라이나에 재래식 무기를 공급하는 것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피오트는 “반면 영향력 있는 군 관계자들은 첨단 무기 사용이 군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로봇 회사 테메르랜드(Temerland)는 GNOM이라는 로봇 정찰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것은 주로 작전 중인 전투 유닛을 위한 대지뢰 차량이다. 테메르랜드의 CEO인 에두아르트 트로첸코(Eduard Trotsenko)는 향후 10년 안에 지상 기반 자동 드론의 도입과 독립적인 대응 및 의사 결정을 위한 인공 지능의 추가 개발을 보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한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은 이미 인공지능 로봇을 테스트하고 있다. 네덜란드 육군의 로봇 및 자율시스템 부대사령관인 시오르 메비센(Sjord Mewissen) 중령은 모든 전쟁이 기술의 시험이라고 믿는다.

THeMIS에 대해 메비센(Mewissen)은 "이러한 무기를 보유하면 적보다 더 유리할 것이며 특히 군인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중령은 THeMIS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킬러 로봇의 가격(대당 약 35만 달러)이 가까운 미래에 병사들과 함께 싸우는 이러한 유형의 로봇에 상당한 장벽으로 남아 있다고 믿고 있다.

러시아의 공격적인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혁신에도 박차를 가했다. 군인들은 전선을 위해 상업용 드론을 수정했으며 전체 기술 발명품 세트가 그룹으로 모였다. 우크라이나인들은 이들을 “크로마디(chromady), 즉 자체 조직된 공동체”라고 부른다.

10월 말 미하일 페도로프(Mikhail Fedorov) 우크라이나 디지털 혁신부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군인들이 적군을 탐지하고 가장 조율된 대응을 위한 권장 사항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상황 인식 플랫폼인 “델타(Delta)”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델타"는 러시아에서 헤르손(Kherson)을 탈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중에 페도로프(Fedorov)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첫 번째 세계 사이버 전쟁"이라고 불렀다.

이란제 러시아 드론과 싸우기 위해 우크라이나군은 새로 개발된 리투아니아산 "스카이와이퍼(SkyWipers)"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무기를 대규모로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킬러 로봇에 대한 최첨단 작업의 대부분은 나토 국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군과 유럽 방위산업체들은 최신 첨단 장비를 러시아나 중국의 손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숨기고 있다.

11월 말 미국 해군은 세계 최초의 "무인 수상함 함대"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호라이즌 훈련을 시작했다. 최근 이러한 AI 드론은 페르시아만에서 수천㎏의 폭발물을 실은 범선을 요격했다. 임무는 사람의 개입 없이 진행되었다.

미국의 거대 방위산업체인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은 매트릭스(Matrix)라는 무인 헬리콥터를 개발하여 10월에 자율 비행을 시연했다.

그리고 유인 전투기와 함께 비행할 무인 공중 차량 "슬레이브"의 첫 번째 배치는 영국 군대를 보다 현대적인 무기로 급진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 계획을 미래 군인이라고 불렀다. 군대의 현대화에는 약 20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호주 캔버라의 학자이자 '일반 로봇 구하기(Saving the Ordinary Robot)'라는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맥스 카푸치오(Max Cappuccio)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드론 프로젝트는 인공지능이 상황을 더 잘 시뮬레이션하고 하늘과 물을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성공적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있다. 카푸치오는 "복잡한 시나리오에서 자율 킬러 로봇이 언제 체계적으로 배치될 준비가 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네덜란드 육군의 메비센(Mewissen) 대령은 완전 자율 군사 기술이 언제 등장하든 세계는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향상된 인공 지능 및 향상된 사이버 보안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군비 경쟁에 처해 있다고 믿는다.

메비센 대령은 “기술과 장비 측면에서 모든 것이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경쟁에 가깝다”고 덧붙인다.

메비센은 “이제 군은 기술적으로 복잡한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AI 전문가 및 군인에 대한 긴급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모집 전략을 조정하고 있다. 좋은 게이머이자 훌륭한 군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비평가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국제인권감시기구인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HRW)는 킬러 로봇 퇴치 캠페인의 일환으로 "완전 자율 무기의 개발, 생산, 사용을 선제적으로 금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HRW는 자율 무기가 국제법의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

2023년 네덜란드 정부는 인공지능의 군사적 응용에 관한 세계 최초의 국제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메비센 대령은 침착함을 유지하라고 조언한다. 그는 “우리는 자율 시스템에 임무를 부여한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작업이 될지는 우리에게만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김세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