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인터뷰서 “20년 사업했지만 여전히 돈잃어”
전기차 ‘붐’ 일어나면서 전기차 수요 늘 것 기대
반도체 팹은 기술 엔지니어 부족해 계획 없어
전기차 ‘붐’ 일어나면서 전기차 수요 늘 것 기대
반도체 팹은 기술 엔지니어 부족해 계획 없어

최 회장은 지난 5일(현지시간) 보도된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SK온이 포드와 미국 내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 ‘블로오벌SK’를 설립하기로 협약을 체결한 데 대해 “거의 20년 동안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해왔고, 많은 돈과 연구개발(R&D) 노력을 걸었지만 여전히 돈을 잃고 있다”면서 “CAPEX(자본 지출) 규모가 엄청나 가끔은 정말 무섭기도 하다”고 밝혔다.
WSJ에 따르면 SK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배터리 생산 등에 약 150억 달러(17조8000억원)를 투자한다. WSJ은 이 기간 반도체·그린 기술·바이오 제약에 대한 자본 지출은 400억달러(47조3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래서 장비 제조업체와 합작 투자를 해야 한다”는 그는 “우리(포드와 SK그룹)는 오랜 시간 함께 거래를 해왔기 때문에 두 회사가 어느 정도 신뢰를 갖고 있다. 그것이 실제로 약간의 자본 지출을 절약하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최 회장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에 대해서는 “사전 검토단계로 아직 계획한 게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미국이 거대한 시장이지만 노동력과 비용이 문제”라면서, “(미국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많은 반면 생산에 필요한 기술 엔지니어는 그리 많지 않다. 생산시설을 만드는 것은 완전히 다른 도전”이라고 설명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