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HMM 협력 브라질 파라나과 터미널, 100만TEU 처리 신기록

공유
1

HMM 협력 브라질 파라나과 터미널, 100만TEU 처리 신기록

1~11월 누적 기준, 연말까지 109만TEU 달할 전망
HMM 독자 운영하는 극동~남미 동안 해상로 기항지

브라질 파라나과 항구 전경. 사진=TCP이미지 확대보기
브라질 파라나과 항구 전경. 사진=TCP
남미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브라질 파라나과 컨테이너 터미널이 사업 시작 이래 처음으로 연간 컨테이너 처리량이 100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를 돌파했다.

이 항구는 대한민국 국적선사인 HMM이 독자 개설해 운영하는 한국발 극동~남미 동안 신규 항로의 주요 기항지 가운데 하나다.
현지 언론 포털포르투아리오(PortalPortuario)는 파라나과 터미널 운영사인 TCP의 발표를 인용해, 올해 1~11월까지 터미널 운용 후 처음으로 누적 컨테이너 처리량 100만TEU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이는 주로 인프라 시설에 대한 투자와 냉장 화물 수출이 주도했다. 이를 통해 파라나과 항은 브라질에서 가장 큰 냉동 육류 저장고로 불리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올해 11개월 동안 처리된 총 화물 중 57.52%는 수출품목으로, 육류 및 냉동식품을 내보냈으며, 42.48%는 수입품목으로 소비재 및 전자 제품을 들여왔다. 이 기간 동안 철도는 11만5310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자본재 부문이 가장 많이 성장했다. 전년동기 대비 처리량은 94% 증가했다. 수입품 가운데에서는 고무로 만든 제품과 물품이 8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TCO는 선박과 컨테이너 부족이라는 세계적인 위기에도 불구하고 2021년 9월 한 달 동안 10만TEU 이상을 처리하는 인상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브라질로 향하는 컨테이너 운송의 경우, 운임 인상률은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평균 금액보다 거의 5배나 올랐다. 예를 들어, 2021년 1월에 이 값은 FEU(40피트 컨테이너)당 약 5만 헤알(R$)에 달했다.

TCP는 올 연말까지 파라나과항에서 지난해보다 11.75% 증가한 약 109만 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토마스 리마 TCP 상무이사는 “전 세계 모든 주요 항구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컨테이너 위기 속에서도 TCP는 사람과 장비에 투자함으로써 컨테이너 처리 능력을 높이고 있다”면서, “우리는 또한 수입업자와 수출업자를 위한 경쟁력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파라나과항에서 더 많은 해상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TCP 임원에 따르면 현대식 장비파크 외에도 2019년 완공된 증설 덕분에 터미널은 1099m 길이의 안벽과 50만m²에 가까운 컨테이너 면적으로 확대되어 연간 최대 250만 TEU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TCP는 최근 HMM이 신규 개설한 극동~남미 동안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FIL: Far East-India-Latin America Service)를 위한 협력을 맺었다. HMM이 가입한 해운 동맹인 ‘디 얼라이언스(THE Alliance)’와는 별도로, HMM 단독으로 운영한다.

12월 7일 부산에서 첫 출항하는 이번 서비스는 파나막스급(5000TEU급) 컨테이너선 등이 투입되며, 전체 로테이션은 총 84일(왕복)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선박 및 선복 부족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해운사들이 극동~남미 서비스에서 한국(부산) 기항을 제외시키는 추세여서 현재 한국발 남미 동안 서비스가 대부분 사라진 상황이다. 이에 HMM은 국내 수출기업 등 한국 화주 보호와 원활한 수출 지원을 위해 한국發 남미 동안 서비스를 신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주요 기항지는 부산 - 상하이(중국) - 닝보(중국) - 셔코우(중국) - 싱가포르 - 카투팔리(인도) - 더반(남아프리카공화국) - 산토스(브라질) - 파라나과(브라질) - 이타포아(브라질) - 나베간테스(브라질) -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 - 몬테비데오(우루과이) - 싱가포르 - 홍콩 - 부산 순이다.

HMM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인도/브라질/우루과이 등 남미 지역의 물동량 증가 등을 고려하여 향후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